ESG, 중소기업도 예외 없다…법보다 빨리 대응해야
대기업과 금융업계가 ESG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중소・중견 기업도 ESG를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는 16일 ‘ESG 경영 동향과 중소기업 대응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김동수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소장 겸 석좌교수는 개회사에서 “ESG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영 지표”라며 “지속가능경영보고가 의무화되고, 대기업이 협력업체를 선정할 때 ESG를 기준에 반영하면서 중소・중견 기업도 ESG 경영을 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정윤모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축사에서 중소기업의 ESG에 관한 인식과 중기중앙회가 제안한 ESG 정책을 소개했다. 정윤모 상근부회장은 “지난해 중앙회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12%는 이미 대기업으로부터 ESG 평가를 요구받았다”고 말했다. 정 부회장은 “응답 기업의 53.3%는 ESG 경영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응답 기업의 90%가 충분한 지원이 없어서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 부회장은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 ESG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의 설치, 정부와 대기업의 협업을 통한 중소기업 ESG 수준 향상의 지원 등을 개선 과제로 건의한 바 있다"고 밝혔다.
ESG 도입에 중소기업도 예외 없어...맞춤형 전략 필요
김동수 김앤장 ESG 경영연구소 소장은 ‘ESG 글로벌 트렌드 브리핑’을 주제로 첫 주제 발표를 맡았다. 김동수 소장은 ESG에 대한 7가지 의제를 설명했다. 7가지 의제는 ▲ESG에 대한 관심 ▲ ESG의 법적 규제 ▲ ESG 관련 이니셔티브 ▲탄소중립 ▲ESG 정보 공시 의무화 ▲ 자본시장의 움직임 ▲ 중소기업의 ESG로 구성됐다.
김동수 소장은 “시장은 시그널링 효과로 ESG가 법에 적용되기 전에 더 빠르게 반응하는데, 대기업이 중소협력업체 선정에 ESG 평가를 반영하는게 한 사례”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ESG는 시장에서 투자자가 이끌기 때문에, 중소・중견 기업도 자금 조달 측면에서 예외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동수 소장은 “EU위원회가 조사한 결과 기업이 ESG에 대응하려면 1.5~1.7명의 전담인력이 필요하며, 이는 대기업이나 중소기업과는 차이가 없다”고 부연했다. 김 소장은 “중소 중견기업도 ESG에 대한 베스트 프랙티스를 빠르게 발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중래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특임교수는 두 번째 발표에서 ‘중소기업의 ESG 지표와 가이드라인’을 소개했다. 조중래 교수는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중래 교수는 중소기업 맞춤형 ESG 핵심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글로벌 ESG 지표를 참고했다고 밝혔다. 조중래 교수는 “중소기업 ESG 핵심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ISO 26000, GRI, RBA(책임있는비즈니스연합), 에코바디스(EcoVadis)의 지표를 참고했으며, EU가 발표한 중소기업을 위한 유럽중소기업연합 지침(NORMAPME Guide)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조중래 교수는 “국내 상장기업 한 곳과 비상장 기업 한 곳에 핵심지표를 적용해서 ESG 경영 현황과 보완책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조중래 교수는 “국내외 ESG 동향과 중소기업의 ESG 경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참고할만한 정부 지원 정책과 중소기업 ESG 핵심지표를 기반으로 각 지표 별 의미와 실행 가이드를 담은 ‘ESG 경영 실행가이드’를 발간했다”고 덧붙였다.
조중래 교수는 “EU의 중소기업연합 지침(NORMAPME Guide)은 지배구조(Governance)를 ESG 지표에서 제외하고, CSRD(기업지속가능보고지침)도 기업 규모가 작음 초소형 기업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중소기업에 적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중소기업 ESG 지표는 필수, 선택, 적용 지표로 구분했기 때문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