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에너지부, 탄소저장과 검증 위해 2조8000억원 투입
미국 에너지부(DOE)가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저장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프로젝트에 22억5000만 달러(2조8345억원)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로이터가 5일(현지시각)에 보도했다.
이 펀드는 앞으로 5년간 탄소저장 검증과 테스트를 하기 위한 것인데, 지난해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초당적인 인프라 법안 때문에 만들어 졌다.
미 에너지부의 탄소관리담당 차관보 에밀리 그루버트(Emily Grubert)는 "목표는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탄소 저장시설을 갖추는 것"이라며, "돈이 빨리 마련될 것"이라고 로이터에 말했으나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은 발전소와 기타 산업현장에서의 탄소배출을 포집하거나 대기에서 직접 탄소를 제거하여 탄소를 저장하는 방식을 검토한다. 또한 저장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멕시코만의 해저 밑에 있는 고갈된 화석연료 유정과 연안에서 저장 장소를 조사할 방침이다.
발전소에서 탄소 배출을 포집하는 경우 발전 비용에 추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보조금을 원한다.
한편, 직접 포집 방식은 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직접 빨아들이는 기술로서 탄소1톤당 600달러(72만원)까지 비용이 들 수 있다.
이번 결정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보조금 덕분에 기술진보와 비용절감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루버트 차관보는 "탄소가 지하에서 새지 않고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기술의 진보가 기업들이 가스 포집을 추진하는데 자신감을 줄 수 있다"고 로이터에 밝혔다. 그루버트는 “같은 종류의 기술들이 상당히 비슷하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에서 화석연료 회사와 화석연료 노동자들을 전환시킬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미국 에너지부가 탄소포집과 저장을 위해 펀드를 조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7년에도 에너지부는 탄소 저장에 1200만 달러(144억원)를 투자했고, 2019년에는 탄소포집과 저장기술에 4300만 달러(541억원)을 지출했다.
또한 2009년 오바마 행정부 시절에는 에너지부가 탄소 포집과 저장 프로젝트에 24억 달러(3조235억원)을 지출한 적이 있다.
미국의 탄소포집과 저장에 관한 기술 개발은 거의 20년 전인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미국 에너지부의 산하기관인 국립에너지기술연구소(NETL)가 잠재적 탄소 저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테스트하는데 초점을 맞춘 특성화 단계로 시작되었다.
이후 지질적으로 탄소를 저장할 곳을 평가하고 저장할 수 있는 탄소의 양을 추정하기 위한 표준적이고 일관된 방법론을 개발했다. 이 방법론은 그후 미국과 캐나다 일부 지역에 적용되었다.
방법론을 개발한 이후에는 100만 미터톤 이상의 탄소가 안전하게 주입된 19개의 소규모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이 프로젝트는 고갈된 유정과 가스전의 8개 프로젝트, 채굴에 부적합한 석탄층 5곳, 클라스틱 및 탄산염수 성분의 5곳, 현무암 1곳 등 수많은 저장 환경에 걸쳐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소규모 테스트는 2008년부터 시작된 개발단계 현장 프로젝트의 토대를 제공했다. 즉 다양한 지질 형성에서 영구적인 이산화탄소 저장에 대해 보다 철저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다른 사례는 탄소세이프(Carbon Safe) 이니셔티브다. 이 사업은 산업자원으로부터 5000만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지질저장소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탄소세이프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심사, 현장 선정, 특성화 및 기준 모니터링, 검증, 회계 및 평가 절차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6년까지 50개 이상의 저장 사이트를 개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