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유럽과의 천연가스 교역 늘려 기후 위기 벗어날까?

2022-05-09     유미지 editor
캐나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유럽과 천연가스 교역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자국 내 기후 목표에 타협은 없다고 전했다. / 저스틴 트뤼도 트위터 

 

캐나다의 저스틴 트뤼도(Justin Trudeau) 총리는 지난 8일(현지시각), "유럽과 천연가스 교역을 생각하고 있지만 캐나다의 기후 목표에 타협은 없다"고 말했다. 

예고 없이 방문한 우크라이나에서 이 같은 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오후, 주요 7개국 정상들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로 합의하면서, 각국은 석유 및 가스 공급과 관련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 뉴 브론즈윅에 위치한 렙솔의 LNG 시설 모습. / 랩솔 캐나다

 

캐나다 가스, 러시아 가스의 차선책으로 떠오르나?

캐나다는 풍부한 천연가스 매장량과 입지를 토대로 수소 생산·연료전지 분야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다. 천연가스 생산량으로는 세계 6위를 차지한다. 

최근 캐나다 정부는 스페인의 에너지 기업 렙솔(Repsol)과 캐나다의 천연가스 기업인 피에리대 에너지(Pieridae Energy)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시설을 놓고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캐나다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많지만 캐나다 동부 해안에는 LNG 설비가 없고, 서해안에 건설 중인 설비 또한 없어 수출이 쉽지 않았다. 

반면 렙솔은 뉴 브론즈윅(New Brunswick)에 LNG 시설을 지니고 있으며 피에리대 에너지는 노바 스코시아(Nova Scotia)에 있는 골드보로(Goldboro) 지역에 LNG 시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의 천연자원부 장관 조나단 윌킨슨(Jonathan Wilkinson)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캐나다 동해안 지역에 위치한 액화천연가스 수출시설 두 곳의 사업 속도를 높이고 독일을 비롯한 유럽연합 고위직 관계자들과 함께 캐나다의 가스 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러시아의 천연가스에 의존도가 높았던 유럽연합이 수입 의존도를 2/3으로 낮추겠다고 전했다. / 픽사베이  

 

EU, 러시아 천연가스 수입 의존도 3분의 2 줄일 예정

한편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 의존도를 올해 3분의 2 가량으로 줄이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EU의 지난달 러시아산 가스 수입은 전월 대비 18% 감소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의하면 EU는 올해 기존 계약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공급자를 찾아내는 방식으로 LNG 수입을 500억 ㎥ 늘릴 계획이다. 미국과 아프리카 서부의 나이지리아, 세네갈, 앙골라 등지와 협력할 예정이며 캐나다와도 가스 교역량을 늘리는 방안을 협의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05년 수준보다 40~45% 줄이겠따는 기후 목표를 발표한 바 있다. /캐나다 정부 

 

캐나다, 자국 내 넷제로 목표엔 타협은 없어

트뤼도 총리는 지난 8일(현지시각) “유럽연합과는 좋은 과계를 유지하되, 캐나다는 기후 위기와의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캐나다는 지난 3월 말,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공개하고,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05년 수준보다 40~45%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지난 2019년 기준 캐나다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은 총 7억 3000만톤으로 이 중 석유 및 가스가 총 배출량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캐나다에서 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분야가 석유 및 가스인 셈이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는 세계 최대의 석유 및 가스 생산국이다. 하지만 동시에 넷제로의 전환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 중 일부가 LNG에 사용되던 동일한 인프라가 수소와 암모니아로 전환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액화천연가스 발전에 수소와 암모니아를 혼합 원료로 사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혼소발전기술’을 염두에 두고 말한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 정부는 “2050년까지 넷제로 배출량을 달성하고 2030년까지 석유 및 가스 메탄 배출량을 최소 75% 줄이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이해관계자 및 원주민 파트너와 함께 계속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