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대기업에게 지속가능한 공급망 의무화 법령 준비 중

산림벌채에 따른 원자재를 사용하는 대기업에 규제 예고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자발적 노력 확대

2020-08-28     김효진 editor
영국 정부는 지난 24일 대기업들의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강제하는 법안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법령이 시행되면, 영국 기업의 산림벌채나 환경 오염을 야기시키는 원재료 구입이 어려워진다. / 픽사베이

영국 정부는 대기업들이 불법 삼림 벌채와 관련된 원자재 등을 사용할 경우 그들의 공급망을 지속가능하게 재정비하도록 강제하는 법을 새롭게 만들 계획이라고 지난 24일 밝혔다.

제안된 새 법안은 영국 소재의 대기업들이 코코나, 고무, 콩, 야자유 등 모든 공급망 내 원자재가 생산 지역의 법을 따라 지속가능하게 생산되었는지를 증명해야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안에 대해, 영국 환경부(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는 "논의 중인 새 법안이 시행된다면, 영국 기업이 다른 나라에서 농산물을 생산할 때 열대우림을 손상시키는 일이 줄어들 것"이라며, "이를 어길 시 부과되는 벌금 수준은 법안을 통해 결정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잭 골드스미스(Zac Goldsmith) 국제환경부 장관은 "우리가 구입하는 제품과 기업의 환경 발자국 사이에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더 환경친화적으로 구축하고자 정부가 새로운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며 제안된 새 법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대기업 공급망에 대한 강경한 대응 계획은 코로나19 장기화로 타격을 입은 경제를 회복하는 데 있어 환경친화적으로 접근하겠다는 영국 정부 기조와 맞닿아 있다. 2021년 11월 보리스 존슨 (Boris Johnson) 총리를 필두로 유엔 기후정상회의를 주최 예정인 영국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가 올 2분기 5분의 1수준으로 위축된 것을 그린 딜 정책으로 회복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위해,

글로벌 기업들의 자발적 노력 이어져

이미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의 공급망을 친환경적으로 구축하고자 자발적인 행동을 펼치고 있다. 유니레버(Unilever)는 자사 제품 생산에서 사용률이 높은 팜오일(Palm Oil)을 산림벌채와 관련 없이 지속가능하게 수확한 업체로부터 100% 구입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IPCC(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패널)에 따르면, 제품 생산에 따른 산림벌채는 탄소 함량이 매우 높은 이탄지대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를 막는 산림의 심각한 훼손으로 온실가스가 더 많이 배출된다고 한다.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은 전세계 배출량의 13%를 차지할 만큼 크다. 이런 문제를 인식한 유니레버는 2023년까지 산림벌채 없는 공급망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더불어 전 공급망의 넷제로(탄소중립)을 2039년까지 달성하겠다는 목표와 함께 11억8000만 달러(약 1조4000억원)를 투자했다.

하지만, 글로벌 환경단체들은 유니레버의 지속가능한 공급망 목표 이행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활동 내용도 목표 달성에 충분치 않다며 더 깊은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니레버는 인공위성 영상 분석 전문 스타트업인 오비탈 인사이트(Orbital Insight)와 협력하여 전 세계에 걸쳐있어 관리·감독이 어려운 농업 공급망을 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산림벌채 현황을 파악해 조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앞서, 유니레버는 인도네시아의 팜오일 경작지와 브라질의 콩 제분소에 시범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전 공급망에 확대하여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