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G 보고서, 저탄소 대안 구축하라 보험회사에 제안
ESG 경영이 다양한 산업군에서 화두가 된 가운데 보험업계에서도 점차 도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BCG는 보험업을 넷제로 전환을 가속할 수 있는 산업 분야로 선정하고 관련 전략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BCG 추정에 따르면, 2050년까지 영국 내 ‘녹색자산(green asset)’ 비중은 손해보험 시장의 66% 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20년 기준 1% 미만의 예측에서 엄청나게 증가한 수준으로, 300억파운드(약 47조원) 규모에 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다수의 보험사는 에너지 효율 및 IT 관련 탄소 배출을 절감하는데 치중했다. 다수의 평가 기관들이 ESG 관련 기준을 발표했지만 각 기관마다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는 정도가 다르다보니, 보험사 입장에서는 E, S, G 중 어떤 요소에 우선 순위를 둘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2020년 다수의 보험사가 한데 모여 ‘넷제로자산소유자연합(NZAOA, Net Zero Asset Owner Alliance)’, 이어 2021년에는 ‘넷제로보험사연합(NZIA, Net Zero Insurance Alliance)’까지 설립되면서 보험 상품 관련 활동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감소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관련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점은 여전하다. 보험사는 피투자기업과 보험계약자의 자산에서 생성되는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이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기관이 적다는 점이 어려움으로 꼽힌다.
보험사, 저탄소 대안 구축 필요해
BCG는 “넷제로 전략을 세우는 것이야 말로 보험사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다수의 고객들이 ‘저탄소 대안’을 원하고 있으며 보다 적극적으로 넷제로 전환 태세를 취하는 경우 새로운 투자금 유치에 상당히 유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 것이다.
BCG는 성공적인 넷제로 전략을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석ㆍ측정하는 모델링 도구를 개발해 ESG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입할 것을 추천했다. 시나리오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면 탄소 배출량의 현재 감축 수준과 앞으로 실현 가능한 수치 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명확한 목표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한 보험사를 예로 들어 자사의 자동차보험 포트폴리오가 내연기관차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EV 및 하이브리드를 겨냥해야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후 보다 현실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개선된 사업안을 내놓을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시장의 흐름을 파악했다면 그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발빠르게 전환해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철강이나 운송 사업과 같이 탄소 배출량이 거대한 산업의 경우 탈탄소화에 대한 압박을 피할 수 없다"며 "친환경으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에 대해 보험사가 가이드를 제시해준다면 선순환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국내 보험사들, ESG 중 E에 치중하는 모습
한편, 국내 보험사들도 관련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는 지난 5일, 공통으로 ESG 평가지표를 만들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넷제로 보험사 연합’을 만든 해외사례처럼 보험사의 특성을 반영해 업계 공통의 평가 지표로 ESG를 측정하게 하고 ESG 경영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 기업의 ESG 평가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 한국ESG연구원 등 수십 개의 기관이 각각 진행하고 있어서 통일된 기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보험사들은 지난해 금융권 최초로 'ESG 경영 선포식'을 개최하고 삼성·교보·한화 등 국내 '빅3' 생명보험사는 지난해 11조원 규모의 ESG 관련 투자도 진행했다. 다만 이러한 보험사들의 ESG 활동이 ‘E(환경)’에 집중되어 있는 듯 보인다.
실제로 현대해상은 사회책임투자채권 3947억원, 신재생에너지·환경관련사업 채권 6913억원 등 1조860억원을 친환경에 투자했고, 삼성생명은 지난해 말 기준 친환경·사회적·지속가능 채권 등에 4조 4000억원, 수자원 및 신재생 에너지 등 대체 자산에 2조1000억원을 투자했다. 교보생명도 3조 7099억원을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와 하수처리시설, 폐기물 처리시설 등 친환경 시설 투자에 집중했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보험 상품 개발이나 '보험 문외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보험사가 'S(사회)'에 대한 투자를 좀 더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