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과 고금리, 기후변화 대응에 영향 적다

2022-09-29     홍명표 editor

금리 상승은 2050년가지 전 세계의 넷제로에 큰 장벽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나왔다. 해외 미디어 로이터는 28일(현지시각) 기후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넷제로가 녹색 에너지에 투자가 많이 이뤄져야 됨에도, 금리 상승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설문조사는 7월 1일부터 9월 13일까지 이뤄졌다.

이는 자본 집약적인 청정에너지 프로젝트가 10년 이상 저렴한 금리의 혜택을 받았기 때문에, 금리가 오르면서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와 배치되는 조사결과다. 

 

금리는 내년에도 오르지만...영향은 경미해

인플레이션이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글로벌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올리고 있다. 금리는 내년에도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 통신은 기후 경제 부문의 전문가들은 이를 넷제로 전환의 주요 장벽으로 보지 않는다고 전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후경제학자 68명 중 50명이 2050년 탄소중립에 도달하는데 금리 인상은 경미하거나 매우 경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과학자들은 지구가 이미 산업화 이전 시기보다 섭씨 1도 이상 높은 지구 기온이 2도 이하, 가급적이면 1.5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2050년 탄소중립에 도달해야 한다는 데 전적으로 동의한다.  과학자들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 기후 변화로 인한 더 많은 재앙적인 피해를 막을 것으로 보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해 말 유엔 COP26 정상회의를 앞두고 여론조사를 실시했는데, 기후 경제학자들은 세계 생산량의 2%~3%를 녹색 전환에 투자하는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더 적은 비용을 지불하는 방법이라는데 동의했다.

브라이언 데이비드슨(Brian Davidson) 패덤 컨설팅(Fathom Consulting) 기후경제부장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대부분의 경제 전반에서 기준금리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더 높은 차입 금리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실질적으로 더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녹색 투자, 높은 초기 비용...부담 가중될 수 있어

"녹색 투자는 화석 연료에 대한 투자에 비해 더 비싸지 않다"라는 주장은 사실이지만, 규모에 맞게 구현되는 모든 신기술과 마찬가지로, 녹색 경제는 훨씬 더 높은 초기 투자를 필요로 한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대국이자 두 번째로 많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국가로 지난 달 역사상 가장 큰 기후 법안을 통과시켰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15년 파리협정 이후 올해 말까지 녹색에너지 누적 투자액이 1조4000억 달러(약2011조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경제학자들이 추정한 금세기 중반까지 넷제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인 44조 달러(약6경1600조원)와는 거리가 멀다.

런던경제대학의 지속가능한 금융실무 교수인 닉 로빈스(Nick Robins)는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지만, 넷제로와 탄력성에 대한 투자의 자본집약적 특성은 부담이 가중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닉 로빈스 교수는 "이 문제는 중앙은행이 신속하게 조사해야 할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앙은행이 늦게 대처할 수록 기후변화의 위험을 해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앙은행 역할 중요,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은 다 달라

설문조사에 응한 대부분의 기후 전문가들은 중앙은행들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지만, 무엇을 우선시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응답자의 40% 이상(67명 중 29명)은 녹색 금융에 대한 정책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답했고, 12명은 "그린워싱"을 피하기 위해 데이터 투명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9명은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비용에 대한 모델 기반 평가를 우선해야 한다고 답했고 5명은 신뢰할 수 있는 기후 관련 지표를 만드는 것이 최선이라고 답했다.

기타 응답자는 12명이다. 기타 응답자 중 일부는 중앙은행이 경제에만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로이터는 우선순위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는 점을 중앙은행이 아직 충분한 수준의 대응을 수행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