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7 종료까지 1주일, 전 세계 메탄 공약 윤곽 드러날까?

서방, 메탄 감축에 한 뜻… 중국 합류는 아직 미지수

2022-11-10     양윤혁 editor
COP27이 지난 7일부터 시작됐다. 메탄 공약에 전 세계 각국의 서약에 이어 행동 방안도 제시될지 주목된다./UN

제27차 유엔(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가 18일까지 진행되는 가운데, 각국 정상들이 전 세계 메탄 배출 공약에 관해 논의한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지난해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에서 메탄을 파리협약 목표에 대한 위협 요소로 선언하고, 오는 2030년까지 배출량 30% 감축을 주장했다. 이후 120여 개국이 메탄가스 감축 서약에 서명하는 등 성과가 있었다. 블룸버그는 이번 COP27에서 메탄 배출 공약에 관한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EU, 일본은 오는 17일, 석유·가스의 추출 및 운송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을 정화한다는 약속을 발표할 예정이다. 블룸버그는 미국 환경보호청(EPA)도 석유·가스 부문의 메탄 배출에 대한 최신 규제계획을 발표할 예정이고, 중국은 자체적으로 메탄 배출에 대응하는 전략을 펼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메탄 감축, 단기적 노력으로 즉시 효과낸다

세계 각국이 메탄 배출에 그토록 신경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메탄이 이산화탄소보다 80배 정도 강력한 온실가스를 생산하며, 단기적인 정책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메탄 감축은 이산화탄소 감축보다 신속하게 결과를 산출해 파리협약 목표를 이행하는 데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UN 환경 프로그램과 기후 및 대기 연합에서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도 메탄 감축 효과가 나와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10년간 메탄 감축 정책을 다른 탈탄소 정책과 병행하면 탈탄소 전환에 집중할 때보다 지구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블룸버그는 지금까지 전 세계는 보고서의 분석과 반대 방향으로 걸어왔다고 평가했다. COP26에서 메탄 공약이 공개된 후 1년 동안 대기 중 메탄은 늘었다. 특히, 지난해엔 메탄에 대한 글로벌 모니터링이 시작된 40년 이래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미국 환경단체인 클린에어태스크포스(CAS)의 메탄 오염방지 책임자인 조나단 뱅크스(Jonathan Banks)는 “메탄 공약과 개별 국가 정책을 신속하게 실행해야 한다”며 “산업 부문이든, 국가 차원이든 약속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제 행동을 옮겨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초기 단계인 메탄 공약은 투명성을 확보하고 실제로 배출량을 측정하면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탄 배출량이 가장 많은 요인은 농업과 축산업으로, 에너지 산업과 폐기물 배출이 뒤를 잇는다. 메탄은 천연가스의 주요 성분으로, 석유·석탄 추출 과정에서도 생성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단기적으로 배출량을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석유·가스 분야를 꼽았다.

 

메탄 공약, 개별 국가에 관심 환기하고 행동 이끌어

환경운동가들은 메탄 공약이 개별 국가들의 행동을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환경보호기금(WWF)의 글로벌 메탄 캠페인 책임자인 매트 왓슨(Matt Watson)은 “메탄 공약은 각국 정책과 연계해 단기적으로 기후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지구온난화의 성장률을 늦추는 틀”이라며, “메탄은 수년부터 수십 년에 걸쳐 작동하고 이산화탄소는 수십 년부터 수백 년에 걸쳐 작동한다”고 덧붙였다.

유럽에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경제와 에너지 부문의 위기가 장기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 세계에서 낭비되거나 유정의 연소과정에서 대기 중에 배출되는 ‘포집되지 않은 메탄’이 유럽 에너지 수요의 상당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양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메탄 공약에 대한 중국의 참여 여부도 중요하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지난해 COP26에서 미국은 중국과 COP27 개최 이전에 메탄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야심 찬 국가 행동 계획’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미국 대통령 기후 특사인 존 케리(John Kerry)가 중국에 지난 국가 행동 계획에 관한 자료를 요구했다며, 중국에서 자료를 제시하면 메탄 공약에 참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COP27, 개발도상국 손실 및 피해 보상 논의 잘 이뤄질까

관련기사: 글로벌 위성 메탄 모니터링 늘어...메탄 감축 의무와 압박 거세질까

관련기사: COP27 개막까지 50일…UN기후회의에서 해결 못 한 문제 해결할까

관련기사: 지난해 대체육 성장률 0% …육류세 도입이 탄소 배출을 막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