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전기차의 해 될까...구매는 여전히 난항
전기차는 탄소중립과 함께 2022년을 뜨겁게 달궜던, 이슈였다. 임팩트온에서 조회수가 가장 높았던 톱(TOP) 기사에도 전기차 관련 기사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31일(현지시각) 전기차 시장이 2023년에 더욱 활기를 띠겠지만, 구매력은 약하리라고 예견했다. 구매력이 약한 이유로는 보조금의 점진적인 축소로 인한 전기차 가격의 상승이 꼽혔다.
블룸버그는 2023년에 20개 이상의 새로운 전기차 모델이 약 4만달러(약 5000만원)대의 가격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출시될 것으로 전망했다. 닛산은 4만3190달러(약 5500만원)에 아리야라는 전기차 모델을 선보였고, 쉐보레는 4만5000달러(약 5700만원), 베트남의 빈패스트는 4만700달러(약 5200만원)짜리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대형 전기차도 등장한다. GMC의 허머, 렉서스의 RZ, 폴스타의 폴스타3,4, 메르세데스 벤츠 EQ와 같은 SUV, GM의 실버라도라는 픽업트럭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
전기차 선택지 두 배 늘지만…구매력 뒷받침 안돼
전기차에 대한 선택지가 올해 두 배로 늘겠지만, 가격이 상승하여 구매와 공급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된다.
S&P글로벌 모빌리티는 2023년에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14%인 1000만 대의 자동차가 판매될 것으로 예측했다. S&P는 전기차 열풍이 가격을 더 끌어올리고 있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가 전기차 보조금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가격 상승 추세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기차 배터리 가격이 2022년에 7% 상승하자, 업계 전문가들은 배터리 공급망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전기차 가격을 내릴 수 없을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분석가인 크리스 홉슨은 "미국 소비자들은 움츠러들고 있다”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전기차 수요를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를 묻는 설문에서 평균적으로 25~50%가 관심이 있음으로 나타나지만, 얼마나 많은 운전자들이 전기차를 사용하기 원하는지는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과 미국,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 강화
주요 시장의 전기차 보조금 제도도 흔들리고 있다. 기업은 전기차 가격에 보조금을 반영해 책정해왔기 때문에, 판매가를 낮춰서 고객 수요를 높이는 전략을 취해왔다.
중국은 2023년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전면 폐지한다. 중국은 2009년 전기차 보급 정책을 시행하면서 보조금을 지급해왔다. 코트라는 2021년까지 중국 전기차 업체가 받은 보조금 총액이 1600억위안(약 29조5280억원)으로 집계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중국은 2019년에 보조금을 2018년도보다 40%, 2022년에는 2021년보다 30%를 더 줄였다. 보조금 지급 기준도 높였다. 2018년에는 항속거리 150km인 차량에서 2019년 250km, 2021년에는 300km 이상인 차량에만 보조금을 지급한다
코트라는 중국의 전문가들이 보조금 폐지로 인해 시장에 변곡점이 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큰 충격이 없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이는 중국이 자국의 전기차 경쟁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확대하되, 지급 기준을 제한하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자국 내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한국과 유럽 등 주요 교역국이 IRA를 WTO에 위반하는 보호무역주의라는 지적이 이어지자 보조금 기준을 다소 완화했다.
유럽과 한국의 전기차 기업들은 IRA의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자 백악관에 의견서를 제출하고 있다.
미국 재무부는 29일(현지시각) 공개한 IRA 친환경차 세액공제 세부 지침에서 상업용 전기차를 ‘재판매가 아닌 직접 사용 또는 리스를 위해 납세자가 구매한 차량’이라고 정의했다. 이는 딜러들이 일반 소비자에게 재판매하기 위해 구매하는 경우가 아닌 법인·리스·렌터카 등을 상업용 전기차로 분류한 것입니다.
재무부가 이 같은 요청을 받아들인 것은 한국과 유럽연합(EU) 등 동맹국의 반발을 의식한 조치로 분석된다. 한국의 전기차 그룹은 이 조치로 인해 상업용 전기차에서는 보조금 대상 업체와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5%가량인 리스 판매 비중을 30%로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