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CCS 기술 지원해 2030년까지 1200만톤 탄소 포집한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2030년 탄소 포획 및 저장(CCS) 기술 활용을 촉진하는 로드맵을 설정했다. 탄소 배출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정부 목표에 따라 2030년까지 연간 600만~1200만톤, 2050년까지 연간 1억2000만~2억4000만톤의 탄소를 저장하겠다고 로이터 통신이 지난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CCS 기술 관련 법안을 제정하고 2030년까지 CCS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의 움직임과 함께 민간 기업들도 CCS 사업을 본격 상업화 하는 데 나섰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한 업계 관계자는 "2030년까지 CCS 사업을 시행하려면 올해부터 기업들이 타당성 조사를 시작하고 2026년 최종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정부의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탄소포집 기술을 가속화하려는 전 세계 흐름에 맞춰 일본도 늦게나마 합류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에너지부는 CCS 기술의 상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유럽위원회도 올해 탄소포집·활용·저장(이하 CCUS) 기술에 대한 “전략적 비전”을 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일본, 2050 탄소 중립 위해 연간 2억 4천만톤 탄소 저장해야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1년 보고서에서 2050 탄소중립을 위해 매년 76억톤의 이산화탄소를 포획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경제산업성은 2050년까지 2억4000만톤의 탄소를 매년 저장해야 한다고 추산하고 있다. 2021년 회계연도 기준 일본 탄소 배출량인 9억8000만톤의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
40억킬로와트(KhW) 용량의 석탄 발전소가 37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면 60개 이상 석탄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니케 아시아는 “최대 3기의 석탄발전소 배출량과 맞먹는 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중간 목표로 2030년까지는 최대 1200만톤을 포획 및 저장하겠다고 설정한 것이다.
일본은 한때 탄광도시였던 홋카이도 미카사에서 폐광산을 채취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프로젝트를 시범적으로 펼치고 있다.
닛케이아시아는 “CCS는 해외에선 이미 상용화된 기술이지만 일본에서는 시범 프로젝트로 실시됐다”며 “마카사 시는 폐광산에 남이 있는 석탄에서 수소를 생산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CCS 기술을 활용해 저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CCS 기술 법안 마련하고 보조금 지원으로 기술 비용 낮춰야
먼저 일본 정부는 미래 핵심 기술인 CCS 관련 법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법안에는 2023년부터 일본에서 이산화탄소 저장할 수 있는 권리를 새로 구축하고, 탄소를 지하에 저장하다가 누출 사고가 발생해도 기업에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업들이 본격적인 CCS 기술을 운용하고 상업화 할 수 있는 지원책도 올해부터 마련할 계획이다. 3~5개 민간 사업을 선정해 보조금을 지원하고, 전문위원회 산하에 두 개의 실무그룹을 구성해 저장소 건설비와 운영비를 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경제산업성은 올해 본 법안을 입안할 예정이며, 기업들은 CCS 사업을 추진하기 전 경제산업성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외에도 탄소 분리 및 회수 비용을 대폭 절감하거나 탄소를 다른 나라로 수송해 보관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 배출권은 탄소 수집, 운송, 저장 비용보다 낮기 때문에 경제산업성은 CCS가 경제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기술 비용을 최소 40% 이상 낮춰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유전이나 가스전에 주입함으로써 동남아시아 등 해외에 이산화탄소를 매장하는 이니셔티브도 지원할 예정이다.
민간 기업들도 CCS 사업 본격 추진
기업들이 올해부터 추진할 예정인 CCS 사업은 크게 3가지로 알려졌다.
일본 최대 정유사 에네오스, JX일본석유가스탐사(JX Nippon Oil & Gas Exploration), 전력개발사 J-파워는 2030년까지 일본 최초의 CCS 공급망을 구현하기 위해 합작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에네오스와 전력업체인 J-파워가 운영하는 정유시설과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지하에 저장한다. J-파워는 총 8.4기가와트(GW)에 달하는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갖추고 있다.
일본 무역회사 이토추(Itochu)는 미쓰비시 중공업, 석유회사 인펙스(Inpex), 그리고 건설사 타이세이(TAISEI)와 협력해 선박 산업의 CCS 공급망을 연구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탄소 비중이 높지만 탈탄소화가 어려운 소재나 선박 산업을 위해 일본에서 탄소를 저장할 장소를 선정할 예정이다.
또한 홋카이도 전력,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석유회사인 이데미츠 코산(Idemitsu Kosan), 일본 석유 탐사회사 자펙스(JAPEX)는 CCS 상용화를 위해 탄소 분리, 포획, 선박 운송 및 저장과 관련된 공동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CCS 기술 상용화 위해 초기 정부 지원 필수
한편 니케이 아시아는 CCS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있어 여러 제약과 도전과제를 제시했다.
석유 및 기타 지하 광물의 채굴 활동을 적용하는 광업법과 같은 규정 법률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향후 일본 정부는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관리를 책임져야 할 사람을 규정하는 법안을 가을 국회 회기 이후에 제출할 계획이다.
비용절감도 또 다른 문제다. 일본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하에 2억40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수심 1000미터에서 3000미터의 유정이 480개 정도 필요하다. 시추 작업은 유정 하나 당 50억(약 7조원)-80억 파운드(약 12조원)가 들 것으로 예상된다.
미쓰비시 연구소는 민간 기업의 CCS 사업의 개시를 장려하기 위해 수익화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초기 단계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