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태양광 기술 보호하려 수출 금지 고려
현재 세계에서 태양광 웨이퍼(wafer)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중국이다. 웨이퍼는 태양광 패널에 함께 끼워 넣는 초박형 실리콘 사각형으로,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7%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태양광 웨이퍼 제조기술의 수출을 금지하려고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중국이 수출 금지 조치를 취하려는 이유는 자국의 기술 우위를 유지하고 태양광 제조에서 실질적인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게 블룸버그의 분석이다.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는 첨단 태양광 웨이퍼 생산에 핵심적인 제조 방법을 수출 금지 기술 목록에 추가하는 것에 대해 중국 인민의 의견을 온라인에서 구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태양광 제조 기술이 지구상에서 가장 큰 새로운 에너지 자원이 됨에 따라 정부가 더 많은 전략적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미국, 인도 등의 국가들은 중국의 우위를 조금씩 빼앗기 위해 자국내 공급망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연구기관인 트리비움 차이나(Trivium China)의 코시모 리스(Cosimo Ries) 애널리스트는 "베이징과 중국 태양광 산업의 시장 리더들은 의심할 여지 없이 자국산 태양광 제조 산업을 개발하려는 미국, 유럽연합, 인도의 노력을 걱정하고 있다"며 "따라서 최근의 이러한 기술 수출 통제는 이에 대한 대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코시모 리스는 "중국은 경쟁사들이 자체 공급망을 개발할 수 있는 속도를 늦추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아직 공론화 단계에 있으며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청정기술 제조에 대한 보조금을 포함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과시키고 신규 공장에 대한 발표가 잇따른 지 불과 몇 달 만에 나온 것이다.
한편, 미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태양광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 솔루션은 미국의 태양광 제조에 25억달러(약 3조796억원)을 투자하기로 약속했는데, 이는 태양광 패널 공급에 대한 한국의 대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바이든 행정부에 힘을 실어준다. 한화큐셀은 미국 조지아주 바토(Bartow) 카운티에 3.3기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잉곳(ingots), 웨이퍼, 셀, 패널 등을 생산하는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11일(현지시각) 발표했다. 한화큐셀은 올 1/4분기에 착공이 예상된다고 블룸버그에 밝혔다. 한화큐셀의 미국 내 총 모듈 용량은 내년까지 8.4기가와트로 증가할 전망이다.
블룸버그에 의하면, 해외의 태양광 장비는 앞으로 몇 년 동안 미국 공급망의 핵심 부분이 될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 이후 미국내 패널 제조업이 서서히 살아난 반면, 모듈을 만들기 위해 함께 끼워 넣는 초박형 폴리실리콘 사각형 웨이퍼 제조는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태양광 발전 비용을 90% 이상 절감하는 데 큰 역할을 한 더 크고 얇은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최첨단 기술을 개발해왔다. 외국 제조업체들이 오래된 웨이퍼를 사용해야 한다면 패널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리스 애널리스트는 예상했다.
1902년 일본에서 창업한 다이와(Daiwa) 캐피털 마켓 애널리스트들은 웨이퍼에서 중국의 지배적인 위치와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 장벽을 고려할 때 중국이 해외 업체에 기술 유출을 피하기 위해 금지를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