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신간】 ESG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 직원 중심의 ESG 경영
<임팩트온>은 ESG, CSR, 지속가능경영, 사회혁신 등의 분야의 신간도서를 싣습니다. 소개를 원하시면, 관련 내용을 im.code@impacton.net으로 보내주세요.
ESG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기업이 주주가치뿐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 나아가서 사회 전반의 가치 극대화를 추구하는 자본주의를 의미한다. 기업의 성장과 발전이 사회의 공존공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고리를 만들어내는 것이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핵심인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2019년 BRT (business roundtable) 선언과 2020년 다보스 선언(Davos Manifesto)을 통해서,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2022년 대한상의의 신기업가정신 선언(entrepreneurship roundtable)을 통해 기업의 목적을 이해관계자 중심으로 전환한 매우 중요한 선언들이 있었다.
그러나 기업의 목적에 대한 이러한 선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영자들과 경영의 실무자들은 실제적인 기업 경영에 있어서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하는지, 혹은 무엇을 다르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실행안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한국경영학회에서 펴낸 이 책의 목적은 이러한 어려움을 가진 경영자와 경영의 실무자들에게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시대의 경영을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하나의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서에서는 경영자의 관점에서 기업가치와 이해관계자 가치, 또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균형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을 지칭하기 위해서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stakeholder primacy)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을 경영의 각 분야에서 어떻게 접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론적 틀과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직원 중심의 ESG 경영
지난 2020년 이후 한국 기업의 경영 과정에서 ‘ESG경영’은 이제 일반명사가 되었다고 할 만큼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동시에,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영역에서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경영 활동인 ESG경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세계적인 이슈인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한 환경 영역이 가장 주목 받는 것 또한 지금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기업의 당면과제인 기후변화 대응뿐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기대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직원’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기업이 ESG경영 관점에서 직원 만족을 실현하고 미래의 ESG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5가지의 단계별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직원과 노동조합 그리고 기업의 공통분모로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주목하기를 제안하고 있다. 기업이 지속 가능하게 성장 발전하기 위하여 도입하고 실행하는 경영 활동이 ESG경영이듯이, 직원들의 지속 가능한 행복을 지원하는 기업의 차별화된 HR활동과 노동조합의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노사ESG 활동 등을 제시한다.
또한, ESG경영이 무엇이고 기업은 무엇을 챙겨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관점이 아니라, 기업이 ESG경영을 강력하게 실천하기 위해서 내부 조직과 직원들의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에 대한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방법론을 저자의 풍부한 현장 경험과 다양한 기업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어서 ESG경영의 효과적인 도입과 실행력 제고를 고민하는 기업 담당자들에게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0년 동안 대기업에서 HR과 CSR 분야의 경험을 쌓은 후 2020년 퇴직한 저자는 2019년에 '우리 회사는 왜 안될까?-CSR 잘하는 회사 만들기'란 책을 낸 경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