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공업 탈탄소 위해 60억 달러 지원

2023-03-11     홍명표 editor
미 백악관 홈페이지

미국 연방정부는 8일(현지시각) 미국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거의 25%를 차지하는 중공업을 탈탄소화하기 위해서 60억 달러(약 7조 8987억원)을 지원한다고 로이터, 블룸버그가 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발표는 2050년까지 미국 경제를 탈탄소화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 공약의 일환이다. 60억 달러의 자금은 바이든 대통령이 2021년에 서명한 인프라 법안과 지난해 서명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이하 IRA)에서 나온다. 

미 백악관은 성명서에서 "이번 조치는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80만개 이상의 제조업 일자리를 만듦으로써 미국 제조업의 복귀를 촉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 소비자 비용 감소 등을 통해 미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미 산업 탈탄소화 투자 규모로는 역사상 최대, 에너지부가 주도

성명서에 의하면, 이번에 지원하는 60억 달러는 미국 역사상 산업 탈탄소화에 투자하는 규모로서는 최대 규모다. 

바이든 대통령의 인프라 법안과 IRA의 자금 지원을 받는 미 에너지부(DOE)의 산업 시범 프로그램(Industrial Demonstrations Program)은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화학, 펄프와 같이 탈탄소화 기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집약 산업에 초점을 맞춘다고 한다. 

이번 조치를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미 에너지부는 산업 시범 프로그램은 화학, 세라믹 및 종이 생산을 포함하는 산업에서 배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비용의 최대 50%에 대해 기술 개발자, 산업, 대학 및 기타 인력에게 경쟁력 있는 보조금을 제공한다.

미 에너지부 장관 제니퍼 그랜홈(Jennifer Granholm)은 미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세라위크(CERAWeek) 컨퍼런스에서 "기존 시설과 신규 시설 모두에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탈탄소화 기술은 우리가 배울 수 있고 그 기술을 복제하고 확장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 단체는 이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미 에너지부가 자원의 최소 40%를 중공업으로 인한 환경 및 사회적 영향에 직면한 지역사회 인근 시설에 할당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부금에 관심을 표시하는 신청서는 4월 21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전체 신청서는 8월 4일까지 제출해야 한다고 미 에너지부는 말했다. 

 

연방 청정구매 이니셔티브, 퍼스트 무버 연합 등 동원해 청정 경제 조성

한편, 지난해에는 미 연방정부는 이번 발표와 함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하와이, 뉴욕 등 12개 주정부와 함께 '연방청정구매 이니셔티브(Federal Buy Clean Initiative)'도 시작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저탄소 인프라 자재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서로 협력하는 내용이다. 미 연방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큰 구매자로 구매력이 연간 6300억달러(약 829조원)에 달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미국산, 저탄소 건설 자재를 연방정부 조달과 연방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우선적으로 사용해서 미국의 산업 역량을 강화하고 좋은 일자리를 증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세계경제포럼과 미국 기후특사 존케리 간의 파트너십으로 이루어진 '퍼스트 무버 연합(the First Movers Coalition)'을 통해 미 국무부와 미 기후 특사는 거의 120억달러(약 15조7974억원)에 달하는 무탄소 자재 구매를 약속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