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 배출량 줄이려 영국 정부 ‘메탄 억제 사료’ 검토

환영하는 축산업계 VS 회의적인 환경단체…효과성 두고 전망 엇갈려

2023-04-04     양윤혁 editor
영국 정부에서 발표한 '넷제로 성장 전략'의 표지. / GOV.UK

영국에서 메탄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축산업계에 ‘메탄 억제 사료’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현지 매체인 가디언이 지난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영국 정부의 ‘넷제로 성장 전략’에 포함돼, 향후 ‘메탄 억제 사료’의 메탄 감축 효과가 입증되면 오는 2025년부터 이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한편 축산업계는 환영하는 가운데, 환경단체에선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축산업계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은 2000년대 초부터 알려져,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현재 영국에서 사육되는 소는 약 940만 마리로, 이들이 내뿜는 메탄은 여전히 전체 배출량 가운데 약 14%를 차지한다.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축산업계는 지난 8월부터 메탄 억제 사료가 배출량을 감축하는 원리를 검토한 후, 이번 영국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고 나섰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메탄 억제 사료’는 축산·낙농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차원의 배출량을 줄일 방안이 아니라며 회의적으로 평가했다고 가디언은 밝혔다. 

영국 전미농민연합(NFU)의 톰 브래드쇼(Tom Bradshaw) 부총재는 가디언에 “소가 배출하는 메탄 대부분은 트림에서 나온다”며 “메탄 억제 사료가 효과적일 수 있다”고 기대했다. 

 

영국 정부의 넷제로 계획, '검증 안 된 기술 전제로 수립하나' 비판

메탄 억제 사료는 현재 시범적으로 운용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효과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가디언은 보도했다. 브래드쇼 부총재는 “식단을 바꿔 어느 정도의 효과가 나타날지 밝혀지지는 않았다”면서 “향후 메탄 배출을 줄이기 위해 조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영국 정부는 이외에도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기술에 의존해 넷제로 계획을 발표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영국의 과학자들은 ‘넷제로 성장 전략’에 포함된 탄소포집 기술이 아직 실제 활용할 규모에서도 효과를 보이는지 증명되지 않았다고 영국 정부를 비판했다고 가디언은 밝혔다.

식량·농업부문의 지속가능성 단체가 연합한 서스테인(Sustain)의 농업부문 책임자인 비키 히르드(Vicki Hird)는 “영국 정부와 산업계는 부분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기술적인 해결책을 선호한다”며 “메탄 억제 사료만 해도 사료와 목초지를 위한 열대 우림 벌채부터 수자원 오염,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 등 근본적인 문제에는 대처할 수 없다”고 밝혔다. 히르드는 “생태학적 방법으로 육류의 질을 높이면서도 결국에는 육류 소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효과성 문제 이외에도 식품기준청의 허가도 과제로 남아있다. 영국에서 유통되는 모든 가축 사료에 대한 허가는 영국 식품기준청에서 진행하는데, 아직 이를 통과한 메탄 억제 사료는 없는 상황이다. 허가되려면 제품의 효능·동물의 건강과 복지에 미치는 영향·식품으로서의 안전성·근로자의 안전·환경 위험 등 수많은 위험 평가를 거쳐야 한다고 가디언은 밝혔다.

영국 전미농민연합의 브래드쇼 부총재는 사료 대신 가축의 품종을 개량하는 방법도 있다고 밝혔다. 메탄 억제 사료가 도입되려면 수많은 위험 요소를 검증해야 하는 데 비해, 뉴질랜드 등 일부 국가에선 메탄 배출량이 적은 품종을 개량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보고 있다고 가디언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