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NFD, 자연 관련 재무 공시 프레임워크 최종 초안 발표
지난 28일,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TNFD)가 TNFD 프레임워크의 최종 초안을 발표했다.
TNFD 프레임워크의 전체 구성은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TCFD) 프레임워크와 유사한 형태로 ▲ 전체 공통 권고사항 및 가이드 ▲ 섹터ㆍ생물군계 별 상세 가이드 ▲ 추천 지표 목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추천 지표의 경우 기존의 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GRI)와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SASB)의 ESG정보공개 표준과 연계해 산업 섹터 및 생물군계(열대우림, 툰드라, 민물 등)별 데이터 세트(Data Set)를 제공한다.
TNFD는 홈페이지에 최종 초안의 내용을 공개해 약 60일간 피드백을 수렴한 후, 9월에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TNFD 프레임워크, TCFD와 같은 4가지 주요 공시 분야 강조
TNFD는 TCFD 프레임워크와 마찬가지로 ▲ 지배구조 ▲ 전략 ▲리스크 관리 ▲ 지표 및 목표의 4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공시 기준을 제시한다.
먼저, ‘지배 구조’분야에서는 이사회 차원에서 자연자본에 대한 의존도, 영향, 리스크 및 기회를 어떻게 파악하고 관리하는지 공시해야한다. 특히, 어떤 이사 혹은 임원이 자연자본 관리에 대한 책임과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지 정확히 명시해야한다.
‘리스크 관리’분야에서는 기업의 밸류체인(Value Chain) 내에 어떠한 자연자본 의존요소, 리스크, 기회가 존재하는지 명시하고 영향 평가 과정에서 관련 이해관계자가 어떻게 관여하는지 설명해야 한다. 즉, TNFD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정보공개를 하기 위해서는 자연자본에 대한 사전영향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TNFD는 별도의 섹션을 통해 리스크 및 영향관리에 대한 상세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TNFD, 10개월 만에 베타 버전 프레임워크 발표
‘전략 분야’에서는 기업이 파악한 자연자본 의존도, 리스크, 기회가 자사의 장단기사업계획, 지역별 사업시설, 글로벌 공급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를 명시해야 한다. 또한 이를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재정 사용계획과 행동 방안을 설명해야 한다. 특히 최종 초안은 TCFD 프레임워크와 마찬가지로 자연자본 리스크에 대한 여러가지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할 것을 요구한다.
‘지표 및 목표’ 분야에서는 자연자본을 관리하고 이에 대한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를 개발해 이를 공개할 것을 요구한다. TNFD 프레임 워크는 기업의 지표 개발을 돕기 위해 기업이 속한 산업 섹터와 기업이 영향을 끼치는 생물군계에 따라 추천 데이터 세트를 제시한다. 해당 데이터 세트는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글로벌 지표 ▲ 각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산업별 지표 ▲ 자연자본 리스크가 높은 산업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추가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업은 이를 참조해 자체적인 지표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은 정량적 지표 공개와 더불어 자연자본 관리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TNFD, 온실가스배출 측정과 마찬가지로 자연자본 영향평가에도
‘스코프(Scope)’ 접근 방식 활용
온실가스 회계처리 및 보고기준(GHG 프로토콜)은 기업의 직간접활동(자사시설, 에너지 구매, 공급망 간접)을 나누어 ‘스코프(Scope)’ 별로 온실가스를 측정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TNFD 또한 자연자본 영향평가에 해당 접근 방식을 활용한다.
TNFD가 정의한 4가지 스코프는 ▲ 직접적 영향 ▲ 업스트림 공급망 ▲다운스트림 공급망 ▲재무적 영향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TNFD는 GHG프로토콜과 달리 재무적 영향에 대한 부분을 추가했는데, 금융기관의 경우 자연자본과 밸류체인(Value Chain)이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3자에 대한 투자 혹은 융자를 통해 생태계 파괴에 일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TNFD의 공동대표 데이비드 크레이그(David Craig)는 “오랜 기간의 작업 끝에 자연자본관리 방안을 과학적 접근방식으로 풀어낼 수 있었다” 며 “이를 통해 시장 참여자들이 복잡한 자연자본의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임팩트온은 2022년 TNFD 최초 국문번역본을 발간한 바 있습니다. 원하시는 분은 라이브클래스(https://impacton.liveklass.com/classes/124471)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