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ESG 이슈 〈탈탄소 대체제는 수소? 글로벌 수소전쟁 한국도 뛰어든다〉
수소 전기 의무화… ‘수소 경제’ 빨라진다
앞으로 발전소나 전력 판매사업자는 수소연료전지로 생산한 전력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서울경제에 따르면, 정부는 2040년까지 25조원 규모의 관련 투자를 이끌어 내 ‘수소경제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연료전지의 체계적인 보급 확대를 위해 2022년까지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를 도입한다. 그동안 수소발전은 태양광이나 풍력 중심으로 설계된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를 통해 보급됐는데, 수소발전 보급을 위해 별도 체계를 만든 것이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향후 20년간 25조원 이상의 신규 투자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소를 만드는 재료인 액화천연가스(LNG) 가격도 최대 43% 낮춘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가스공사가 직접 수소 제조용 LNG를 공급할 수 있도록 허용해 유통 단계를 줄이고, 개별 요금제도 적용하기로 했다.
주거·교통에 수소가 주요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는 도시인 수소시범도시 기본계획도 마련됐다. 울산엔 주택과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수소발전 기반을 확충하고, 수소차 전용 안전검사소를 설치하거나 수소버스를 운용하는 등 수소 모빌리티 허브를 구축할 계획이다. 안산엔 국가산업단지와 캠퍼스 혁신파크 등에 수소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배관망이 확충되고, 전주와 완주에선 공동주택과 공공기관에 수소연료전지를 통한 전력이 공급된다.
EU "600조 투입", 中 "수소굴기"...'H의 전쟁' 불붙었다
무한대의 잠재력을 보유한 수소(H)에너지를 두고 미국과 유럽연합(EU)·일본·중국 등이 수소경제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불꽃 경쟁을 벌이고 있다. 서울경제는 “수소경제 규모는 향후 2조5,000억달러(약 3,000조원)에 이르고 3,000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며 글로벌 산업과 에너지의 판도 변화를 몰고 올 것이라는 전망에 이를 선점하기 위해서”라고 분석했다.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육성해온 EU는 최대 60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지난 7월 ‘수소전략’을 발표하며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시스템을 수소 중심으로 통합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EU는 2024년까지 현재 1기가와트(GW) 수준인 수소발전 설비를 6GW, 2030년까지 40GW로 늘릴 계획이다. EU는 전체 에너지 사용에서 2~3%인 수소 비중을 2050년까지 14%로 확대하기 위해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 수소 생산에만 1800억~4700억유로를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세계 7위 국가의 경제 규모와 맞먹는 캘리포니아주를 필두로 수소 경쟁에 뛰어들었다. 캘리포니아주는 10년 내 수소충전소 1000기, 수소차 100만대 보급을 계획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될 경우 내년부터 미국의 수소산업 육성 발걸음은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수소산업 육성에 미·일·유럽을 빠르게 추격하려는 중국 정부는 ‘수소 굴기’를 천명하고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대를 보급하는 한편 충전소 1000기를 설치하기로 했다. 베이징과 상하이·광둥성·다롄을 수소산업 4대 거점으로 삼아 수소버스와 연료전지, 발전용 연료전지를 육성하고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 생산액은 2025년 1조 위안(한화 약 17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산업의 리딩 국가를 자임하고 있는 일본 역시 2014년 수소경제 전환을 공식화한 후 수소충전소 900개 건설, 연료전지 발전기 530만대 공급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일본은 10년 내 호주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국제 수소 공급망을 구축하기로 하면서 수소를 외교·안보 영향력 확대의 디딤돌로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