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47%, 다음 차량 구매 시 전기차 고려 안한다

2023-04-14     송선우 editor

시카고 대학교의 설문에 따르면 미국인의 47%가 “다음 차량 구매 시 전기차를 선택하지 않겠다”고 답변했다. 다음 차량 구매 시 전기차를 살 가능성이 ‘높다’ 혹은 ‘매우 높다’ 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19%에 불과했다.

설문은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미국 전역 540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오차범위는 1.7%다.

미국 환경보호국(EPA)이 지난 10일 "2032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67%까지 늘리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소비자의 전기차 선호도는 높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나 화제가 되고 있다.

 

전기차 구매의 가장 큰 장벽은 충전소 부족과 높은 비용

전기차를 구매하지 않겠다고 밝힌 응답자의 주된 이유/ 시카고 대학교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전기차를 소유한 응답자는 10%에 불과했으며, 다음 차량 구매 시 전기차를 적극 고려 중인 응답자 또한 19%에 불과했다. 이들은 전기차 구매의 가장 큰 장벽으로 ‘충전소 인프라 부족’과 ‘높은 비용’을 꼽았다.

소비자들은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내연기관차에 비해 전기차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응답했다. 현재 미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하에서 소비자들은 최대 7500달러 (약 995만원)까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약 절반 정도의 응답자들이 전기차 구매 보조금 및 충전소 재정지원 혜택 등의 정부 재정지원 프로그램 확대에 찬성했다.

충전소 부족 문제는 응답자의 거주지역에 상관없이 공통적인 문제로 떠올랐는데, 많은 응답자가 “충전시설 미비로 인해 차량 운용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실제 바이든 정권에서도 해당 문제를 인지해 지난 2월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소를 50만 곳 이상 늘리겠다”고 선언했으며 전기차 충전소를 건설하는 테슬라, GM 등의 기업에 재정지원을 약속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전기차를 의무화 한다?

소비자 반응은 ‘싸늘’

소비자들은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 혜택에는 찬성했지만, 규제를 통한 전기차 보급 의무화에는 반대 의견을 보였다.

실제, 연비 규제 강화를 통해 자동차 제조사의 전기차 전환을 유도하는 정책에 동의하는 응답자는 35%였으며, 전기차 보급 의무화 정책에 동의하는 응답자는 27%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은 정부개입을 통해 소비자의 제품선택권리를 침해하는 데에 큰 거부감을 보였다.

또한 기후변화대응과 전기차 전환을 연관시켜 보는 소비자들의 비중은 크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를 구매한 소비자 중 기후변화대응을 고려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35%에 불과했으며, 기후변화 대응 자체를 중요 이슈로 보지 않는 응답자도 약 절반 정도에 달했다.

때문에, 시카고 대학 측은 “‘기후변화대응’이라는 어젠다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기보다는 전기차의 가격경쟁력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