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탄소포획에 4조원 넘는 보조금 지원한다

2023-04-24     김환이 editor
미국 정부가 탄소를 영구 포획·저장하는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35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언스플래쉬

미국 정부가 탄소를 영구 포집·저장하는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35억달러(약 4조6287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지난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에너지부는 미국 전역에 총 4개의 허브를 건설해 DAC(공기중 직접포집) 프로젝트를 지원할 예정이다. 옥시덴탈, 캘리포니아대학, 셸 등 총 20곳이 DAC 연구 허브 건설에 입찰을 신청했으며, 최종 입찰은 올 여름에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보조금은 크게 3단계로 지원이 이뤄진다. 초기 타당성 연구로 300만달러(약 39억원), 설계 연구로 1250만달러(약 165억원), 구매, 건설, 운영 등 프로젝트 완성까지 최대 5억달러(약 6612억원)를 지원할 것이다. 

나아가 탄소 포획 기술을 활성화하기 위한 세액 공제도 톤당 180달러(약 23만원)로 확대하기로 했다. 미 의회는 지난해 8월 IRA법(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과시키면서 이산화탄소 1톤을 제거할 때마다 톤당 85달러(약 11만원)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기로 밝혔다. 하지만 공제 혜택이 있어도 탄소포획 비용이 높아 기업들은 수익을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에너지컨설팅 업체 리스테드 에너지에 따르면, 탄소포획 비용은 탄소 순도에 따라 톤당 15~100달러(약 1만9000~13만원)까지 소요된다. DAC 공정은 이산화탄소를 자연적으로 흡수하도록 설계된 액체 또는 고체를 통해 탄소를 포획하고, 가열 후 처리돼 지하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미국 정부는 DAC 공정 비용을 1톤당 100달러 이내로 소요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스트림 등 외신은 세액 공제액이 180달러로 확대되면 탄소포획 기술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분석했다. 로이터 통신은 “공기중직접포획(DAC)을 통해 기후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전 세계 최대 노력”이라고 분석했다. 

 

탄소포획 비용 줄어들면 세액 공제 혜택 늘어나

미 정부가 건설할 탄소포획 허브는 저렴한 가격으로 재생에너지와 가스 저장을 가능하게 할 전망이다. 정부 발표 이후, 에너지 기업들은  탄소포획 허브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주 정부, 연방정부, 투자자, 석유기업, 대학 등이 DAC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했으며 프로젝트를 위한 경쟁은 치열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위스 클라임웍스(Climeworks)는 루이지애나, 캘리포니아, 노스다코타 등 3개 허브 신청에 참여했으며, 자사 기술을 활용해 미국 정부의 연간 목표치인 100만 톤까지 포획할 계획이다. 프로젝트를 착수하면 2030년까지 3개 허브를 기반으로 3500개의 직접 고용과 수만 개의 간접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클라임웍스의 조나스 리 카본캡처 최고 상업책임자는 "(3개 허브 외에도) 탄소포획과 관련된 또 다른 자금 조달 입찰에 참여했다”며 “ 프론티어 카본솔루션즈 등 12개 새로운 회사와 손잡고 포획된 탄소를 와이오밍주에서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를 만드는 데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옥시덴탈 페트롤리엄은 개발 중인 DAC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금을 신청했는지 직접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세계에서 가장 큰 DAC 공장을 갖추고 있어 연방정부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환경단체, "DAC가 그린워싱 수단으로 되어선 안돼"

한편 미 정부의 탄소포획·제거 보조금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DAC 컨설팅 회사인 카본180의 에린 번즈 전무이사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탄소나 배출물을 제거하는 것이 DAC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며 “미 연방정부의 허브는 화석 연료 생산과 관련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비용 문제도 마찬가지다. 공장, 파이프라인 및 저장소를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도 매우 비싼 편이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관계자들은 “DAC 허브가 프로젝트 운영 비용, 기후 영향력 만큼의 규모로 설계가 될지 미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클라임웍스는 “정부 목표에 맞춰 탄소 포획 비용을 톤당 100달러로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카본 캡쳐는 “2030년까지 톤당 250달러(약 33만원), 10년 안에 톤당 150달러(약 19만원)가 소요될 것”이라며 "탄소 포획 비용을 점점 낮춰나가겠다"고 설명했다.

환경단체들은 “DAC가 그린워싱 수단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석유가스 미디어 업스트림에 따르면, 이들은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 제거가 필요하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기업이 DAC에 투자하는 대신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화석연료 기업들은 중배출 시설이 위치한 저소득 지역에서 허브를 건설할 경우 지역사회를 위한 보호막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