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EU의 전략적 에너지 동맹자 되나...'녹색동맹' 서명
유럽연합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을 점점 더 강화하고 있다.
24일(현지시각) 유럽연합은 노르웨이와 기후변화 대응, 청정에너지 및 산업전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녹색동맹'의 출범을 알렸다. 같은 날 유럽 9개국은 북해를 '풍력발전 허브'로 만들기 위한 공동 사업추진에 합의했다.
우선 EU와 노르웨이는 둘다 2030년까지 55% 감축, 2050 탄소중립이라는 유사한 기후목표를 갖고 있다. 이 동맹은 탄소 제거, 포집 및 저장(CCUS) 기술뿐만 아니라 자연 보호, 생물 다양성 손실, 기후 변화 적응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룰 예정이라고 유랙티브와 ESG투데이가 전했다. EU는 2021년에도 EU와 일본 사이에 유사한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서명식에 앞서, 요나스 가흐르 스퇴레(Jonas Gahr Støre) 노르웨이 총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 전환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스퇴레 총리는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으로 인해 이 거대한 녹색전환의 야망이 추진되었다는 것은 역설적"이라며 "우리는 유럽 경제와 통합되어 있으며, 이 녹색 동맹은 매우 포괄적인 대답"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또한 청정 모빌리티, 재생 에너지와 수소 생산을 포함한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 청정 기술에 필요한 중요한 원료를 얻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후 목표와 에너지 뿐 아니라 중요한 원자재도 녹색 동맹에 포함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EU와 노르웨이의 녹색 동맹을 둘러싼 양자간 합의가 쉽지는 않았다고 한다. 양국이 향후 석유 채굴과 북극 보호에 대한 역할에 관한 의견이 엇갈렸다는 보도가 나왔다.
노르웨이는 주요 석유 및 가스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EU의 주요 에너지 공급국 중 하나였다. 우크라이나의 침공과 러시아의 유럽으로의 가스 공급을 중단한 후, 노르웨이는 유럽의 가장 큰 천연 가스 공급자가 되었다.
녹색 동맹의 아이디어는 "미래의 탈탄소 유럽 에너지 시스템을 달성하기 위해 힘을 합치는 것"이지만, 단기적으로는 노르웨이가 유럽에 화석 연료를 공급하는 데 필수적인 파트너로 남을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우르줄라 폰데어 라이언 EU 집행위원장은 "유럽은 다가올 겨울을 맞이해 안정적이고 저렴한 천연가스 공급이 필요하며, 노르웨이가 앞으로 높은 수준의 가스 공급을 유지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노르웨이의 천연가스를 활용한 탄소포집과 수소 생산까지, 공급망을 유럽 역내에서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동맹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환경 운동가들은 협정에서 석유와 가스에 대한 부족한 언급이 노르웨이가 특히 북극에서 화석 자원을 계속 탐사하는 데 허점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Naturog Ungdom(노르웨이 지구의 젊은 친구들)의 리더인 지나 길버(Gina Gylver)는 "기후 위기의 주요 원인인 화석 연료를 다루지 않는 녹색 동맹의 계획을 보는 것은 매우 골치 아픈 일이다. 노르웨이 정부가 특히 북극에서 더 많은 석유와 가스 인프라를 정당화하기 위해 EU를 이용하려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길버는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는 전환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 산업 계획은 부정적이다. EU가 노르웨이의 화석에 대해 침묵을 지키는 것은 우리의 바다와 지구를 파괴하는 노르웨이의 범죄를 승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럽 9개국, 북해 '풍력발전 허브'로
한편 같은 날 유럽연합 7개국(독일,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덴마크, 아일랜드)과 노르웨이, 영국은 북해를 '풍력발전 허브'로 만들기 위해 뭉친다는 합의를 발표했다.
유럽연합(EU) 7개국과 노르웨이, 영국은 벨기에 오스텐더에서 가진 회담에서 2050년까지 북해 해상풍력 발전규모를 대폭 확대해 탄소중립과 러시아산 가스 탈피를 동시에 추진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유럽 전력수요의 6배에 달하는 에너지 잠재력을 갖춘 북해를 '풍력발전 허브'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유럽 9개국은 북해 해상풍력 발전시설 복합용량을 현재 30GW 수준에서 2030년 120GW, 2050년 300GW까지 확대키로 했다.
영국과 네덜란드는 해상풍력발전소와 연결되는 유럽 최대 국경횡단 전력 케이블을 건설하기로 했고, EU와 노르웨이는 북해 가스전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포획해 저장할 수 있는 시설도 개발할 예정이다. 지난해 5월에는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벨기에 4개국이 2050년까지 해상 풍력발전 규모를 150GW 수준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최근 EU 추정치에 따르면 2050년까지 풍력발전 규모를 300GW로 확대하기 위해선 8천억 유로(약 1천177조9천840억원)의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