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재생에너지 수용 확대 위해 전력망 손본다
한국전력은 8일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2022년부터 2036년까지의 계획인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세운 송⋅변전설비 확충기준에 따라 수립됐다. 이 계획에 투입되는 비용은 15년간 총 56조5000억원이다. 이는 9차(2019~2034년) 송·변전 설비계획 때 세운 투자금액 29조원보다 2배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한전은 이 계획을 통해 국가 에너지 안보의 확립을 위해 안정적인 전력계통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한전은 신규 원전을 신속하게 전력계통에 접속하고, 지역 단위에너지를 예측하여 지역망을 보강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의 단점인 전력 생산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대안 기술도 적용한다고 밝혔다.
수립 절차는 지역별 전력수요 전망을 계산하고, 확보한 데이터를 통해 기술성과 경제성을 검토하는 게 첫 단계다. 한전은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안을 수립하고 이사회에서 의결한 후에 전기위원회에서 확정한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송⋅변전 위한 전력망 인프라 구축
재생에너지는 중앙집중형이 아닌 분산전원으로서 전력량 예측과 송⋅변전이 중요한 전원이다. 한전은 지역단위 재생에너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월별 예측치를 내놓을 계획이다.
재생에너지는 날씨와 계절에 영향을 받는 변동성이 큰 특징이다. 한전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계통안정화 전용 플랫폼을 도입한다. 변전소가 바로 다른 변전소로 연결되던 기존의 방식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추가하여 전력을 보관했다가 수요에 따라 송전하는 방식으로 계통의 안정성을 향상한다.
한전은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들이 모인 집적화단지를 확인하여 공동접속설비에도 선투자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사업자는 생산한 전력을 모아서 전달하기 위해 접속기가 필요하다. 공동접속설비는 민간사업자가 개별 접속기를 새로 설치하는 것보다 건설비용에 있어서 경쟁력이 있다.
투자 계획은 특히 해상풍력 보급을 중심으로 먼저 진행될 것으로 확인된다. 산업부가 집적화 단지에 공동접속설비의 구축을 요청하면 한전이 선투자하고 추후 발전사업자들로부터 비용을 회수한다.
한전은 서해안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HVDC(초고압 직류송전) 기간망도 구축한다. 서해와 호남지역은 해상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시설이 밀집해 있는데, 발전력이 지역의 전력 수요를 뛰어넘기 때문에 한전은 이를 수도권으로 송전하려고 한다.
에너지 계획입지와 ‘그리드코드’ 전문가 그룹…기존 혼잡성 문제 해결
한전은 무질서한 재생에너지 보급으로 인한 국토의 난개발과 특정지역에 재생에너지가 편중되어 발생하는 송전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업을 철저한 계획에 따라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한전은 재생에너지가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에너지 계획입지제도’를 도입한다. 에너지 계획입지란 재생에너지 잠재량과 주민 수용성, 계통 여유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공공주도의 재생에너지 보급제도를 말한다.
정부가 계획지구를 지정하면 지자체는 지구 내에서 계획 단지를 선정하고 발전사업자를 공모한다. 지자체는 발전사업자들의 입주를 유도하기 위해 계통접속을 보장하고 별도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산업전문가로 구성된 워킹 그룹도 설립되어 재생에너지 확산을 대비한다. 일명 ‘그리드코드 워킹그룹’은 기술연구, 정책개발, 기술교류의 세 분과로 구성된다. 그리드코드는 발전소와 엔지니어가 전기를 분배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으로 다양한 전력 소비처에 송전되는 전력량을 결정한다. 기술연구분과는 전력전자설비의 계통영향과 기술동향을 분석하고 인버터 신기술의 적용을 주로 연구한다. 정책개발분과는 해외의 기준과 기술표준을 분석하고 송배전 그래드 코드 개정을 검토하고 공청회를 여는 역할을 한다. 기술교류분과는 전문가 특강이나 기술세미나를 개최하고, 연구책자 및 해설서 작성, 정책 및 기술 대외 홍보 등의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담당한다.
한전은 지역별 전력 수급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전력망 소요와 간선망 구축방안을 포함한 전력망 보강 로드맵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 로드맵을 바탕으로 차기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마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