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문닫는 석탄발전소를 재생에너지 발전소로 교체한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 450GW 확대 중국 등 외국산 태양전지 장비 수입에 관세 부과
인도 라자 쿠마 싱(Raj Kumar Singh) 전력부 장관은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곧 문을 닫을 예정인 석탄 화력발전소를 재생에너지 발전소로 교체할 예정이라고 지난 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인도는 중국에 이은 세계 2위의 석탄 소비국이자,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 번째로 많은 나라다. 인도의 석탄화력발전소는 현재 373기가와트(GW) 절반 이상의 발전소 용량을 차지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싱 장관은 "많은 공장들이 문을 닫고 있다"며 "앞으로 29개 정도의 공장이 문을 닫을 예정인데, 이 공간을 재생에너지 발전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450GW까지 늘릴 예정이다. 이는 인도 전력부 산하 중앙전력공사(CEA)가 올해 초 추산한 435GW보다 높은 수치다. 이에 2022년까지 원자력, 수력, 재생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전력을 현 89GW에서 175GW까지 설치할 예정이다.
현재 태양 전지 및 모듈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도는 주로 중국에서 수입되는 값싼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다. 인도의 연간 태양광 모듈 설치 및 기능에 대한 제조 능력은 10GW인 반면 태양전지 생산능력은 2.5GW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싱 장관은 "앞으로 2년 이내에 연간 25GW 정도의 태양전지와 모듈 용량을 늘릴 계획"이며, "정부가 인센티브를 제공해 국내 제조업계를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현 제조공장에 재생에너지 장비를 설치하는 기업에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기업이 태양광 패널에 연결된 태양광 변환장치 등 재생 에너지 장비를 수입하는 데에는 부과 관세를 높일 예정이다.
인도는 재생에너지의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태양전지·모듈 수입에 대한 세이프가드 듀티(Safeguard Duty)를 1년 더 연장할 예정이다. 세이프가드 듀티는 2018년 7월 30일 인도 정부가 국내 셀·모듈 제조업체를 보호하기 위해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되는 태양전지·모듈에 25% 부과된 세금이다. 이를 통해 침체된 경기도 부양하고, 민간기업의 참여를 통해 연안의 재생에너지 장비 제조 거점도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인도 전력공기업 NTPC도 국가의 재생에너지 목표에 기여하기 위해 녹색 에너지 포트폴리오에 대한 야심찬 계획을 내놓았다. NTPC는 지난 9일(현지시간) 녹색에너지 사업에 주력할 100% 소유 자회사 NTPC 신재생에너지를 인수했다고 주요 외신을 통해 보도했다.
환경 우려가 높아지고 신재생에너지 관세가 하락하면서 NTPC는 국내 화력발전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로 결정했다. 2032년까지 총 13만 MW의 전력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이 중 30%를 수력(5000MW), 재생에너지(3만2000MW) 등 비화석연료 에너지로 구성할 예정이다.
싱 총리는 "지난달 인도의 전력수요가 1년 전보다 높아져 산업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신재생에너지 분야와 국내 제조업의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