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상품거래소, 삼림벌채 추적 서비스 출시 계획
인터콘티넨털 익스체인지(이하 ICE)가 유럽연합의 삼림벌채 법안 도입을 앞두고 커피와 코코아 기업들을 위한 상품 추적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ICE는 뉴욕증권거래소(NYSE) 등을 보유한 미국의 금융 및 상품거래소다.
삼림벌채법, 기업에 현장 실사 및 공급망 추적 시스템 요구
ICE는 EU의 삼림벌채 법안이 2024년 12월 도입 예정인 것을 고려해, 2024년에는 관련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발표된 EU의 삼림벌채 관련 상품 수입 금지법에 따르면, 기업들은 공급망 전체에서 삼림 파괴와 황폐화에 관계가 없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발생한 매출액의 최대 4%에 해당하는 벌금을 물어야 한다. ICE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커피 및 코코아 계약이 체결되는 거래소로, 관련 산업 내 고객과 이해관계자들이 EU의 새로운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ICE의 곡물 상품 운영 책임자 토비 브랜든은 “고객들이 삼림벌채 법안을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 제공을 위해 관련 업계와 협력해왔다”면서 “이 솔루션에는 거래 체결 시 판매자로부터 공급망 데이터를 받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EU의 삼림벌채 법안에 따르면 팜유, 소, 목재, 커피, 코코아, 고무, 대두와 같은 상품을 유통, 제공, 수출하는 모든 기업들은 공급망 내에서 삼림벌채 실사를 수행해야 하며, 위성 이미지, GPS 좌표 등을 통해 생산과정을 추적해야 한다.
주요 기관 투자자들, 법안 도입 앞두고 소비재 기업에 우려
한편 주요 투자자들은 EU의 삼림벌채 법안 도입을 앞두고 공급망 리스크가 있는 소비재 기업들에 우려를 표했다. 규정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매출의 최대 4%까지 부과되는 과징금 때문이다.
슈로더스, 자누스 헨더슨, NBIM, 유니온 인베스트먼트 등 8개 주요 기관 투자자들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소비재 기업들과 이 문제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약 4670억달러(약 598조402억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유니온 인베스트먼트의 ESG 책임자 헨릭 폰첸은 “삼림벌채법 위반 시 부여되는 과징금은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56개 소비재 기업에 서한을 보내 공급망 내 삼림벌채 현황에 대해 공유해달라고 요청했으나, 회신한 기업은 30여 곳에 불과했으며 그중 14개 기업만이 삼림 벌채 제로를 향한 목표가 있었다고 밝혔다. 폰첸은 “기업이 회신하지 않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라며 “우리는 문제가 끝내 해결되지 않는 회사는 떠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 NIBM의 스튜어드십 매니저 스노레 예르데도 “삼림벌채 법안에 대비하지 못한 기업들은 벌금을 납부해야 하거나 실사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며 해당 법안이 기업들에게 영향을 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인공지능, 삼림벌채 추적에 활용
삼림벌채 법안이 도입되면 기업들은 상품의 생산 시기, 장소, 2020년 이후 벌채되지 않은 토지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레킷의 ESG 책임자 데이비드 크로프트는 “인공지능이 삼림벌채 추적을 위한 솔루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실제로 유니레버는 구글과 파트너십을 맺고 머신러닝을 활용해 공급망, 특히 원산지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인공위성을 활용해 나무 수의 변화를 감지하고, 동남아시아 같이 구름이 많은 지역의 경우에는 숲의 일반적인 탄소의 양을 추정, 정량화해 나무가 벌채되어 기후 위협이 발생할 경우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네슬레 또한 2050년까지 삼림벌채 제로를 목표로, 현장 실사와 위성을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병행 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