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ISSB 통해 2025년 기후공시 의무, 2027년 비상장기업도 의무화
싱가포르가 ISSB(국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위원회)의 보고기준을 2025년부터 적용해, 공시 의무화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책임투자미디어 RI와 닛케이아시아 등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회계 및 기업 규제 당국(ACRA)과 싱가포르 거래소 규정에 의해 설립된 지속 가능성 보고 자문 위원회(SRAC)는 "상장기업은 2025년부터 기후공시를 의무화하고, 2027년 회계연도부터 연간 매출이 최소 10억싱가포르달러(약 9600억원) 이상인 비상장기업에 적용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제정된 규칙은 싱가포르에 대한 국제 ESG 보고 표준의 적합성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특별히 설치된 업계 주도 자문위원회에 의해 개발됐다. 자문위원회 멤버로는 블랙록, 지역 대출 기관인 DBS, 테마섹(Temasek), PwC의 대표 등이 참여했다. 변경 규칙은 2024년 최종 확정된다.
이렇게 되면 싱가포르는 아시아 최초로 비상장 기업의 기후공시를 의무화하는 국가가 된다.
상장기업은 2025년부터, 비상장기업은 2029년부터 공시해야
싱가포르의 상장기업들은 공시를 시작한 후 2년 후인 2027년에는 스코프 1과 2 배출량에 대한 외부 인증을 받아야 하며, 2029년에는 비상장 기업에도 동일한 요구 사항이 적용된다. 감사인은 ACRA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기업들은 기후 공시를 시작한 지 2년 후, 스코프 3 배출량을 보고할 수 있어서 준비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제안된 기후 공시 규칙은 2027 회계연도부터 연간 매출이 최소 10억 싱가포르 달러(약 9641억원)인 비상장기업에도 적용된다. 이는 글로벌 규칙을 설정하는 독립 기관인 ISSB(국제지속가능성 기준위원회)가 제시한 지침과 일치한다.
자문위원회는 2027년에 검토를 실시해 2030 회계연도쯤까지 매출액이 1억 싱가포르달러(약 964억원) 이상인 비상장 기업으로 기후 공시 요건을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싱가포르의 움직임은 싱가포르 정부가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기업들이 넷제로 목표를 지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나왔다.
에스더 안(Esther An) SRAC 위원장은 성명서에서 "더 많은 국가들이 넷제로를 약속하고 세계적으로 탄소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후 전략과 공시는 상장되거나 상장되지 않은 기업들이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위험을 완화하고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각국 정부가 기업의 기후 공시에 대한 조치를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투자자들도 비상장 기업의 투명성 제고를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영국의 거대 석유 회사인 BP가 알래스카 석유 및 가스 사업을 힐코프(Hilcorp) 에너지에 56억 달러(약 7조2682억원)에 매각한 것과 같은 탄소 집약적인 자산을 비상장 기업에 매각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한다. 이런 경우 동일한 자산에 대해 온실가스 배출 공시 요구사항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최근 노이베르거 베르만(Neuberger Berman)과 누빈(Nuveen)을 포함한 투자자 및 자산 운용사 그룹은 "비영리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에 참여 미국, 유럽 및 아시아의 개인 소유 비상장회사가 상장 기업들과의 투명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환경 데이터를 제공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비상장 대기업 300여 개 기후공시 의무화
개정안이 적용될 경우 싱가포르는 2025년부터 700개 상장기업이 기후공시를 따르게 되며, 비상장 기업의 기후 공시 의무화는 300여 개 기업에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G20 기후 관련 금융 공개 태스크포스(TF)에 따라 금융, 농업, 에너지, 재료 및 운송 등 5개 업종의 상장 기업만 완전한 기후 공시를 제공해야 한다. 다른 업종의 상장기업은 '준수 또는 설명'(comply or explain)해야 한다. 즉, 이것은 기후 공시를 하지 못할 경우 이를 설명하면 된다는 의미다.
한편, 일본의 지속가능성 표준 위원회, 나이지리아의 기술 준비 작업 그룹 및 영국의 지속가능성 공개 기술 자문 위원회와 같은 많은 관할 구역이 지역에 사용하기 위해 ISSB 표준을 적용하기 위해 유사한 기구를 구성했지만, 아직 공식적인 기한을 발표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