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주 해외 ESG 이슈 핫클립

2023-08-10     김세진 editor

<임팩트온>은 지난주 지속가능경영, ESG 분야 뉴스 클리핑을 간단히 정리해 매주 목요일 제공합니다.

 

Environment(환경)

미, 자동차 연비 기준 상향 추진…2032년 L당 24.6km

미국 연방정부가 대기오염을 줄이고, 소비자들의 연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 연비 기준 상향조정에 나서기로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전미고속도로교통안전청(NHTSA)은 2027~2032년형 신차 연비 기준을 강화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지금은 2026년형 자동차의 경우, 갤런당 49마일(L당 20.8km)을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기준이 바뀌면, 2032년형 모델은 갤런당 58마일(L당 24.6km)로 연비를 높여야 한다. 연비를 18% 넘게 끌어올려야 하는 것이다. NHTSA는 새 연비기준이 확정돼 실행되면, 2050년까지 소비자들의 연료비 지출은 모두 500억달러(약 63조8700억원) 절약되고, 이산화탄소(CO2) 배출은 90억톤 이상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英의 '녹색 후퇴'…산업계 탄소배출량 허용치 대폭 늘려줘

영국 탄소배출권이 유럽보다 대폭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정부가 최근 자국 산업계의 탄소배출량을 사실상 눈감아주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변경안을 발표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영국은 2024년부터 3년간 기업들에 약 5350만 톤의 추가 할당량을 허용하고, 운송업계에 대한 유예기간을 2026년(EU는 2024년)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영국의 탄소배출권 가격은 최근 톤당 47파운드(약 7만9000원)까지 주저앉았다. 이는 톤당 88.5유로(약 75.8파운드, 12만8000원)에 거래되고 있는 유럽연합(EU)의 탄소배출권에 비해 40% 가까이 할인된 가격이다. 탄소배출권 가격의 폭락으로 발전사업체들의 부담이 줄어듦에 따라 영국 전기료도 덩달아 안정세를 되찾고 있지만, 단기적 호재에 불과할 뿐 장기적으로 국익에 반하는 조치라는 반론도 나왔다.

친환경 철강 무역기구 설립 추진 예의주시 해야

미국과 EU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대중국 견제를 위해, 친환경 철강 무역기구 설립을 논의하고 있다. 이는 세계 철강 수입의 28%를 차지하는 최대 수입시장인 미국과 EU가 주도권을 쥐고, 글로벌 철강산업 재편을 위해 본격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은 10월까지 EU와 합의를 마무리하고 우방국들의 참여를 이끌어내 국제 규범의 형태로 ‘클린철강’ 클럽을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또 저탄소 집약도 기준에 못 미치는 비 참여국의 시장 접근을 제한하기로 했다. 관세에 대해서는 양국은 국가별 철강 공급과잉 및 탄소 집약도 수준에 따라 0~40%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베트남, 전기차·배터리산업 본격 육성 나선다…세제혜택 등 지원

베트남정부가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를 촉진하고, 전기차와 배터리 등 관련산업 육성및 발전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베트남 교통운송부는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과 특별투자인센티브 부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전기차 전환 지원정책(초안)’ 보고서를 최근 쩐 홍 하(Tran Hong Ha) 부총리에게 제출했다. 지원 정책적 방향은 ▲전기차 및 관련 제조업체 지원 ▲전기차 구매자 지원 ▲전기차 관련 인프라 개발 지원 등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이에 따라 교통운송부는 국제사회에 공언한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 전기차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게 됐으며, 교통운송부는 의견수렴을 거쳐 가능한 빨리 최종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SMR에 주목하는 인도 정부…원자력 사업 민간기업에 여나

인도가 국영 기업이 주도하는 원자력 산업에 민간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도는 중국과 미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온실가스 매출량이 많은 국가다. 현재 전력 생산량의 약 70%가 석탄 발전으로 나온다. 지텐드라 싱 인도 원자력 장관은 이날 “국영이 아닌 기업들의 더 많은 참여를 허용하기 위해 원자력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의회에 밝혔다. 인도는 현재 원전 건설 및 관련 기술 개발에 민간 기업의 참여를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원전 운영 및 원자력 발전에 사용되는 핵연료 관리 등은 정부가 운영하는 기업들이 독점하고 있다. 싱 장관의 발언은 이 제한범위를 개정해 민간 기업들의 참여를 확장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인도네시아, '블루 이코노미' 본격 드라이브

인도네시아는 풍부한 해양 자원을 바탕으로 블루 이코노미 확대에 본격적으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코트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의 '인도네시아 블루 이코노미 로드맵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최근 블루 이코노미 로드맵을 공개했다. 인도네시아는 2045년까지 블루 이코노미 개발에 대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해양보호구역 9750만 헥타르 확장 △GDP 내 해양 부문 비중 15% 확대 △해양 고용 기여 비중 12% 확대 등 세 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블루 이코노미 로드맵 이행을 위해 한국을 포함해 다른 국가 및 민간 기업과 협력에 대한 개방성도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 "폭염 땐 사회불안도 폭발"

이코노미스트 등에 따르면 위기관리 컨설팅사 베리스크 메이플크래프트는 올해 3분기 글로벌 사회불안 지수가 2017년 집계를 시작한 뒤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식료품 가격이 불안 요소인데, 영국과 유럽연합(EU)의 식료품 가격은 작년 대비 각각 17%, 14% 올랐고, 이집트는 65%의 식료품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각국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재정 긴축을 본격화한 것도 사회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연구진이 1950년대 이후 내전 등 소요 사태와 기온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기온이 장기 평균치보다 조금만 높아도 소요 발생 빈도가 급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끓는 지구…"엘니료발 경제 손실 3848조원“

엘니뇨 현상으로 올여름 지구의 기온은 인류 관측 역사상 가장 뜨거울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엘니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2029년까지 최대 3조달러(약 384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시대가 끝나고 '끓는 지구'(global boiling)의 시대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폭염, 홍수, 산불 등으로 이어지는 이상기후가 '뉴노멀'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그는 "전 세계 배출량의 80%를 차지하는 주요 20개국(G20) 국가들의 행동이 특히 중요하다"면서 "지도자들은 기후변화 대책과 기후정의를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후변화 관련 소송, 5년 새 두 배 넘게 급증

전 세계가 폭염과 폭우 등 이상 기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기후 변화 관련 소송이 5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유엔환경계획(UNEP)과 뉴욕 컬럼비아대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약 2180건의 기후 변화 관련 소송이 제기됐다. 이는 2017년 이전 884건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에서 가장 많은 소송이 제기됐다. 미국에서는 지난 5년 동안 기후 변화와 관련해 약 1500건의 소송이 제기됐다. 열대 우림이 풍부한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기후 변화 관련 소송이 늘고 있는 등 개발도상국에서 약 17%의 소송이 제기됐다.

바스프, 퇴비화 인증 획득한 식품 포장재 솔루션 이코비오® 출시

바스프가 가정용 및 산업용 퇴비화가 가능한 냉장 및 온장 식품 포장용 제품등급을 출시했다. 이에 따라 바스프는 종이와 판지 압출 코팅을 위한 이코비오(ecovio®)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코비오 등급으로 코팅된 종이 식품 포장재는 사용 후 가정용 또는 산업용 퇴비시설에서 퇴비화가 가능하고, 유기성 폐기물 재활용을 통해 순환경제에 기여할 수 있다. 미국 재료 시험 협회 기준(ASTM D6866)에 따르면 이코비오의 재생가능 원료 중 70~80%는 바이오 기반 성분으로 구성된다. 바스프는 이처럼 다양한 산업의 요구에 따라 맞춤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코비오 포트폴리오를 다시 한번 확장하게 됐다.

도쿄가스·미쓰비시, 이산화탄소 회수해 도시가스 원료 제조

도쿄가스와 미쓰비시중공업이 쓰레기 소각장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CO₂)를 회수해 도시가스의 원료가 되는 메탄을 제조하는 실증실험을 시작했다. 수소(H₂)와 이산화탄소(CO₂)를 합성하는 '메타네이션'은 가스의 탈탄소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실험은 소각장에 설치한 미쓰비시중공업의 장치로 이산화탄소를 회수해, 근처에 있는 도쿄가스의 연구 시설(요코하마 테크노스테이션)에 트럭으로 수송해 메탄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루 200㎏을 모아 일반 가정 260여 채가 하루에 사용하는 데 필요한 양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식료품회사 크래프트 하인즈, 포장에서 1억파운드 플라스틱 제거

크레프트하인즈는 지속가능한 포장옵션을 채택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버진 플라스틱(신상 플라스틱) 사용을 20%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해당 플라스틱 분량이 1억파운드 가량으로 추정했다. 이 회사는 2025년까지 100% 재활용, 재사용 또는 퇴비화가 가능한 포장을 달성하고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크래프트 하인즈는 최근 영국에서 플라스틱 수축 포장을 대체할 ‘친환경 멀티팩 종이판 슬리브’를 출시했다. 또 하인즈는 2025년까지 토마토케첩 제품에 사용될 나무펄프로 만든 종이 기반 병을 개발하기 위해 ‘펄펙스(Pulpex)’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테슬라, 전기트럭 충전소 설립 추진…美정부에 1300억 지원 요청

테슬라가 전기트럭의 장거리 운송을 위한 충전설비 구축을 추진한다. 전기트럭 ‘세미’를 생산하고 있는 테슬라는 미 텍사스주에서 캘리포니아주로 이어지는 수송로에 전기트럭 전용 충전소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미 정부에 제출하고, 보조금 9700만달러(약 1252억원)를 요청했다. 테슬라는 보조금 지원을 받는 대신, 자체적으로 2400만달러(약 309억원)의 개발 기금을 기부하겠다는 방침이다. 테슬라는 이 지역에 충전소가 여러 개 설치되면, 전기트럭 충전의 편의성을 높이는 선진적 대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테슬라의 계획이 성공한다면 미 최초 전기트럭 충전 네트워크가 될 것”이라며, “텍사스에서 애리조나, 캘리포니아로 이어지는 장거리 전기트럭 운송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드 CEO, 우리 EV 경쟁자는 ‘테슬라·BYD·지리’

포드 CEO가 전기차 부문 경쟁사로 테슬라와 함께 중국의 BYD와 지리자동차 등을 꼽았다. 짐 팔리 포드 CEO는 최근 미국 팟캐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순수 전기차 시장에서 우리의 주요 경쟁사는 제너럴모터스나 BMW, 폭스바겐이 아닌 테슬라와 BYD, 지리자동차”라며 “수년 동안 변화 과정을 지켜봐 왔고,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포드자동차는 궁극적인 목표로 더 저렴한 전기차를 생산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 팔리 CEO는 “포드는 상용차, 더 큰 3열 크로스오버, 픽업트럭과 고성능 모델의 전동화를 계획하고 있으며 고객이 정말로 필요로 부분에서 혁신을 이룰 수 있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프로젝트 X 가속화" LG엔솔, 삼성SDI·MS·CATL과 폭스콘 전기차 컨소시엄 'MIH' 합류

LG에너지솔루션이 대만 폭스콘 주도의 전기차 컨소시엄 'MIH'에 합류했다. 이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삼성SDI와 중국 CATL,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블랙베리 등 글로벌 기업들과 전기차 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다. MIH 컨소시엄은 주요 배터리 회사뿐만 아니라, 미국 MS와 아마존, 퀄컴, 대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회사 미디어텍 등 글로벌 기업 2675개 사를 포괄한다. 회원사가 늘면서 3인승 구조의 전기차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X'에도 가속도가 붙었다. MIH 컨소시엄은 오는 10월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재팬 모빌리티쇼'에서, 3인승 전기차 시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Social(사회)

미국, '강제노동' 中 축전지·천연색소 생산기업 수입금지 제재

미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강제노동을 통해 제품을 생산한 중국기업 2곳에 수입금지 제재를 발령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이날 강제노동으로 만든 제품을 자국 공급망에서 배제하는 정책에 의거, 이들 중국기업의 제품에 대해 금수 조치를 내렸다. 이번에 제재를 받은 중국기업은 납축전지를 제조하는 캐멀그룹(駱駝集團), 천연색소를 생산하는 천광생물과기(晨光生物科技集團)과 그 자회사(焉耆有限公司)로, 이로 인해 캐멀그룹과 천광생물과기가 생산한 제품은 8월2일부터 미국 수입이 전면 금지된다. 이에 따라 UFLPA로 신장 자치구에서 강제노동을 제품 생산에 이용하는 사업자 리스트에 등재된 기업은 24개 사로 늘어났다.

 

Governance(지배구조)

생성형 AI 전문 임원 내세운 코카콜라·아마존…'선견지명'일까 '시기상조'일까?

최근 생성형 AI(generative AI) 부문을 책임질 관리자 직급을 신설하는 브랜드가 등장하는 가운데, 이들의 역할에 관한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코카콜라(Coca-Cola)는 지난달 브랜드 최초의 생성형 AI 글로벌 책임자(global head of generative AI)로, 코카콜라의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전략 및 콘텐츠 책임자였던 프라틱 타카를 선임했다.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는 올 초 바산스 필로민을 생성형 AI 부사장으로 임명했다. 그런데 일부 기업들은 생성형 AI 관련 업무가 늘어나도 직함에 그 용어를 포함하기 꺼려하고 있다. 이는 한때 광풍이 불었으나 종적을 감축 메타버스의 길을 걷지 않기 위해서인 것으로 예상된다.

 

Supply Chain(공급망)

글로벌 칩 제조기업들, 인도에 패키징 공장 건설 검토

글로벌 칩 제조기업의 인도 투자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이미 투자 의사를 밝힌 글로벌 칩 기업이 4~5개에 이르며, 기업들은 패키징 공장 건설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6월 마이크론은 구자라트에 27억5000만달러(약 3조6200억원) 규모의 조립 및 테스트 공장을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라지브 찬드라세카르 장관은 인도 정부가 칩 설계 계획을 위해, 약 12억7000만달러(약 1조6700억원)를 따로 책정해 둔 사실을 공개했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인도는 약 113만달러(약 14억8800만원) 한도 내에서 신생 기업에 발생한 디자인 관련 지출의 50%를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인도 반도체 제조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반도체 칩 제조에 인도가 사실상 기술이 전무하고, 관련 일을 해 본 인력 확보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광물 심해 채굴 지연…유엔, 내년 이후 허용할지 결정

심해에서 광물을 채취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등으로 사용하려는 국제 사회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국제해저기구(ISA)가 이를 허용할지 내년 이후에 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태평양의 클라리온 클리퍼톤 존(CCZ, Clarion Clipperton Zone)에 대한 상업적 개발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유엔 산하 해양 규제기관인 ISA가 36개 이사국 이사회 회의와 회원국(유럽연합 포함 168개국) 총회를 열어 2024년까지 채굴을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ISA는 잠정적으로 2025년에는 심해 광물 개발에 필요한 국제적인 규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ISA는 이 규정이 마련되기 이전에 채굴 작업 계획 신청서가 들어오면, 차기 회의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아프리카서 전기차 배터리용 광물 공급망 구축

일본 정부는 아프리카에서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필수적인 코발트 등 중요 광물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일본 정부는 연내 잠비아·콩고민주공화국·나미비아 등 아프리카 3개국과 각각 중요 광물 공동 조사 등에 나설 방침이다. 일본의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는 가까운 시일 내, 잠비아와 이런 내용이 담긴 각서를 체결할 전망이다. 콩고민주공화국, 나미비아와는 이미 각서를 체결했다. 또 광산투자를 위한 관민 회의도 개최해 닛산자동차, 한와흥업 등 일본계 기업을 초청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가 아프리카에 투자하는 데에는 중국에 대항할 생각도 보인다. 중국도 이미 콩고민주공화국을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나서고 있어 양국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ESG Reporting(ESG 공시)

IASB, 지속가능성 보고 보증표준 출시

국제 감사 및 보증표준위원회(IAASB)는 지속가능성 보고에 대한 제3자 보증에 대한 새로운 국제 표준인 ISSA 5000 출시를 발표했다. 새로운 표준은 전 세계적인 새로운 공시 기준들이 생겨남에 따라, EU의 최근 확정된 CSRD 규칙, 미국 SEC의 다가오는 기후공개규칙, ISSB 표준 등에 발맞춰 만들어졌다. 지금까지 제3자 보증으로는 AA1000과 ISAE3000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번에 관련된 보증 표준 또한 업그레이드되는 것이다. IAASB는 제3자 보증 표준에 대해 원탁회의를 개최하고 2023년 12월 1일까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받을 예정이다.

유럽연합 '기업 기후변화 정보공개 의무화'에 전문가 "자율권 부여해 빈틈”

유럽연합(EU)이 새로 도입하는 ESG 정보 공개 규정이 구조적으로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럽연합 내 활동기업들에 기후변화 관련 정보 공개 의무와 함께 공개 범위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자율권 또한 부여했기 때문이다. 규정에 따르면 기업들은 자사 활동이 미치는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의 내부 중대성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아울러 평가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보고서를 유럽위원회에 제출해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된다. 기업들이 내부적으로 먼저 분석을 하게 되면 공개할 정보를 선택할 수 있어 허점이 생긴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러한 지적에 유럽위원회는 중대성 평가가 제3자의 감시하에 의무적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ESG Investing(ESG 투자)

LG·GM 공동개발 배터리, 비용 절감 가능해진다…신공정 도입 추진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사 '얼티엄셀즈'가 저렴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배터리를 생산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 GM은 최근 스타트업 '이-라이트 이노베이션(E-Lyte Innovation, 이하 이라이트)'과 전략적 연구개발(R&D)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라이트가 나노라믹의 배터리 전극 공정 '네오카보닉스(Neocarbonix)'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맞춤형 전해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네오카보닉스 공정이 상용화될 경우, 얼티엄셀즈의 경쟁력은 급상승할 전망이다. 네오카보닉스 공정을 채택하면, 저비용으로 고성능 배터리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럽 규제 기관의 신규 지침도 준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