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지열 에너지 확대 및 CCS 추진한다

2023-08-28     홍명표 editor
  사진은 석양의 브란덴부르크/픽사베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독일 정부가 난방 시스템의 화석 연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독일에서 심층 지열 에너지의 잠재력이 크다고 24일(현지시각) 밝혔다. 

로이터에 의하면,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큰 지열 매장량이 있지만 대부분 미개발 상태다. 지난해 러시아의 에너지 공급 중단 등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독일 정부는 재생 에너지를 포함해서 대체 에너지 확보에 분주했다. 

숄츠 총리는 독일 바이에른에서 열린 사회민주당(SPD) 행사에서 "우리 목표는 2030년까지 가능한 한 많은 지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숄츠 총리는 "지열 에너지 발전을 확대하여 2030년까지 현재보다 10배 많은 에너지를 난방 네트워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열 발전소를 앞으로 42개에서 54개로 증가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로, 지열 에너지 부문은 에너지원의 잠재력을 확대하고 화석연료의 시추에 대한 지역의 반대와 낮은 정부 보조금을 포함하여 많은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한 법률이 필요하다.

지난해 프라운호퍼(Fraunhofer)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지열 에너지는 300테라와트(tw) 이상의 생산 잠재력으로 독일 연간 열 수요의 4분의 1 이상을 충당할 수 있다고 한다. 400미터 이상의 깊이에 있는 지열 저장소에서 열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독일 기업들은 CCS사업을 펼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촉구

한편, 로이터의 23일(현지시각) 보도에 의하면, 독일은 탄소 포집과 저장(이하 CSS)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독일 기업들은 CSS사업을 할 수 있도록 독일 정부의 전략과 제도 마련을 하라고 주문했다. CCS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연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일각에서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독일의 경우 2012년 연방 주에게 사용 거부권이 부여돼,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숄츠 총리는 2045년까지 넷제로라는 목표를 놓칠 가능성이 높다보니 CCS를 재고하고 있다고 한다. 독일 정부가 CCS를 제도적으로 도입할 경우, 유럽 연합의 배출권 거래 시스템(ETS)에 따라 시멘트 대기업인 하이델베르크 머티리얼즈와 같은 회사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독일을 주요 탄소 저장 중심지로 만들 기회를 보고 있다. 독일국제안보연구소의 탄소 관리 연구원인 펠릭스 슈에누이트(Felix Schenuit)가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독일의 CCS 르네상스"라고 말했다. 

독일 정부는 CCS를 허용하는 법 개정을 통과시키기 전에 이해관계자들과의 대화를 약속했다. 로이터의 질문에, 독일 경제부는 언제 전략을 발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지만, 이해관계자와의 대화는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여론조사 기관인 시베이(Civey)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독일인의 거의 절반이 집 근처에서 CCS 프로젝트를 수용할 것이며 반대하는 사람은 30%에 불과했다.

독일 최대 산업용 석회 생산업체인 라인칼크(Rheinkalk)의 마틴 볼머(Martin Volmer) 선임 관리자는 "독일 국내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조사해 새로운 정부 전략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볼머는 낮은 운송 비용과 더 쉬운 물류를 이유로 "아마도 독일도 참여할 수 있기를 큰 희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서부 독일에 대규모 CCS 프로젝트를 건설하기 위해 EU의 자금 지원 승인을 받았다. 

독일 북부의 키엘(Kiel)에 있는 GEOMAR 헬름홀츠(Helmholtz) 해양연구센터의 클라우스 월만(Klaus Wallmann) 연구원은 "지질학적으로 독일은 북해에 약 15억에서 83억 톤의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최대 2000만 톤을 저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베를린에 본사를 둔 탄소 시장 및 경영 컨설팅 회사인 카보네어(carboneer)의 대표인 사이먼 괴스(Simon Goess)는 "독일 정부가 연말까지 전략을 발표하더라도 내년 중반 이전에 의회에서 법 초안이 나오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