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워싱 탐사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② 부적절한 친환경 용어 사용
국내 시총 200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비율은 계속 늘고 있다. ESG행복경제연구소에 따르면, 7월말 공시율 기준 지난해 55.5%(111개사)에서 올해 75.5%(151개사)로 무려 20%p 늘었다. 글로벌 ESG정보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자율공시 또한 확대되는 상황이다.
기업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자사의 ESG 성과를 제시하지만, 자칫하면 이 과정에서 정보를 왜곡, 누락 혹은 과장해 자사의 성과를 부풀릴 위험도 있다. 특히 친환경 성과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이나 용수 사용량, 폐기물 감축비율 등 전문적인 내용이 많다보니, 일부 과장된 환경성과가 표시되더라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해당 사실의 진위를 잘 파악하기 힘든 경우도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내외 정부기관과 NGO들의 그린워싱 모니터링이 강화되고 있어, 기업들 또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그린워싱에 관해 촉각을 곤두세울 필요가 있다.
이에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와 임팩트온은 ‘그린워싱 탐사대 2기’ 청년기자들과 함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을 통해 국내 주요 기업들의 환경성과를 들여다보고, 그린워싱 리스크가 있는 부분을 파악해보았다.
*그린워싱 분석은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환경 관련 표시·광고에 관한 심사지침 개정안을 기반으로 수행
지난 2021년 정유업체 셰브론(Chevron)은 '항상 더 깨끗한 에너지(Ever-Cleaner Energy)'라는 표현을 사용해 자사의 친환경 활동을 홍보했다가 큰 곤욕을 치른바 있다. 이들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이며, 재생에너지 분야의 자본 지출이 0.2%에 불과하지만 환경 표어를 사용해 자사의 친환경성을 대대적으로 홍보했기 때문이다. 이에 그린피스, 어스웍스(Earthworks) 등의 환경단체는 그린워싱 명목으로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에 정유업체 셰브론을 고발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부적절한 환경 용어 사용으로 인한 리스크가 비교적 적다보니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이를 남발하는 경우가 잦다. 특히, 환경적 효과가 낮거나, 반(反)환경적 요소에 친환경 프레임을 씌워 소비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메탄 배출 높은 LNG를 친환경 에너지로 간주하고,
중장기 기후변화대응 과제로 포함
일례로, 석유화학업체 L사는 자사의 2050탄소중립 로드맵의 중장기 전략중 하나로 LPG 및 LNG 전환을 꼽고 있다. LPG는 저탄소(Low Carbon) 연료라는 표현을, LNG에는 ‘친환경 동력 연료’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환경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 이해관계자들은 LNG를 친환경 연료로 간주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LNG의 이산화탄소 배출이 기존 화석연료에 비해 낮은 것은 맞지만, 다량의 메탄을 함유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실제 메탄의 지구온난화지수(100년 기준)는 21인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에 끼치는 영향이 무려 21배다 높다는 의미다. LPG 또한 저탄소 연료라고 표현하기엔 무리가 있다. 리퀴드가스유럽(Liquid gas Europe)에 따르면, LPG 또한 석유와 비교했을 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2%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해외에서는 LNG를 친환경적이라고 광고하는 기업을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에 고발하거나, 법적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있다. 특히 기후솔루션, pacific environment, stand.earth 등의 환경단체 연합은 ‘Say No To LNG’라는 글로벌 캠페인을 통해 LNG를 친환경 전환의 요소로 활용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LNG를 탄소중립 전환의 단기적 가교역할(Transition Fuel)로 활용한다고 명확히 명시하는 경우가 많다. 머스크(Maersk)와 같은 선도기업은 아예 LNG를 배제하고 암모니아 등의 친환경 연료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공정위의 환경관련 표시 심사지침의 ‘진실성’ 기준은 “환경 관련 표시·광고는 그 내용이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여야 하고 사실과 다르게 표시·광고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소비자를 기만하거나 오인시킬 우려가 없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높은 메탄매출로 인해 환경오염에 끼치는 영향이 큼에 불구하고, LNG를 친환경적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그린워싱이라는 이야기다.
LPG와 LNG를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주요 요소로 활용하는 것 또한 적절하지 않다. 실제 기업 탄소중립 검증기관 과학기반감축목표(SBTi) 또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천연가스 및 LNG 생산이 점진적으로 감소해야 하며 2050년까지 완전히 생산이 중단되어야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전사적 친환경 프로세스"라는 용어 사용해
가치사슬 전체를 친환경적인 것처럼 묘사
건설업체 G사는 '전사적 친환경 건설 프로세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자사의 가치사슬 내 모든 프로세스가 친환경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업체의 환경성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와 반대되는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
실제, 해당업체는 건설 과정에서 친환경 자재를 사용했으나, 실질 사용률은 8%에 불과하다. 반면, 탄소배출이 높은 레미콘 사용량은 2020년 375만㎥에서 2021년 413만㎥로 약 10% 증가했고, 시멘트 사용량은 2021년 기준 12만 8340톤으로 전년 대비 불과 0.5% 감소했다(2019년 대비 3% 증가). 이에 온실가스 배출은 2020년 20만7747톤에서 2021년 22만5570톤으로 약 8.6% 가량 늘었다.
또한 G사가 R&D를 수행중이라고 명시한 ‘친환경 자재’ 또한 환경적 효과가 애매모호하다. 이미 선도적 기업들은 콘크리트를 대체해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낮춘 페록, 헴프크리트 등의 신소재를 개발하고 있는데, 콘크리트 생산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이와 비교했을 때 환경 효과가 낮기 때문이다.
공정위의 환경관련 표시 심사지침의 ‘구체성’ 기준은 “환경 관련 표시·광고는 그 대상이 제품이나 포장 중 어디에 관한 것인지를 명확히 구별되어야 하며, 만약 그것이 제품이나 포장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관한 것일 경우에는 그 일부분이 어디인지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G사는 자사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체에 친환경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가치사슬 전체가 친환경적인 것 처럼 묘사하고 있지만 환경성과가 감소하거나 애매모호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구별해 표시해야한다는 의미다.
친환경 기업 전환 약속했지만...이와 상반된 행보 보이고
관련 정보 공개하지 않아
에너지 업체 D사의 경우 “친환경발전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하겠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바로 아래 핵심 사업 분야로 복합화력발전을 예로 들고 있다. 실제 복합화력발전의 경우 LNG를 기반으로 하며, 석탄화력발전보다 이산화탄소배출량이 낮고 발전효율이 높다. (석탄화력 40%, 복합화력 60%)
하지만 풍력,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비교했을 때, 복합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배출은 여전히 높은 편이며, 높은 메탄 배출로 인해 기후변화에 끼치는 영향이 큰 편이다. 따라서 친환경 발전에 대한 핵심사업의 예시로 복합화력발전을 꼽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D사는 2021년부터 베트남 석탄화력발전소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 6월 현지 발전소 운영기업의 친환경 연료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는 했으나, 이는 상용화가 미진한 암모니아 혼소발전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D사의 이러한 행보는 친환경 발전기업 전환을 약속한 자사의 선언과 상반되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공정위 환경관련 표시 심사지침의 ‘완전성’ 기준은 “환경 관련 표시·광고를 할 때에는 소비자의 구매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실이나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누락․은폐 또는 축소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D사의 경우, 복합화력발전소의 메탄 배출 등에 대한 반(反)환경적 정보를 누락했고, 베트남 석탄화력발전소 지원에 대한 내용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해당 정보는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실이기 때문에 그린워싱 요소로 지적당할 수 있다.
기사작성= 송선우 Editor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분석= 그린워싱 탐사대 고수현, 표지혜 청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