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2025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 시작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인도는 세계 3위 탄소 배출국이다. 이에 인도는 2030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온실가스 배출 비율을 2005년 수준의 45%로 줄이고, 2070년까지 탈탄소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가운데 인도 정부 관계자 2명이 "정부는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펄프 및 제지 분야의 기업에 대해 탄소 배출 강도 벤치마크와 감축 목표를 3년간 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시장 거래 주기는 매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관계자들은 또한 4개 부문의 기업들이 2025년 4월부터 국내 탄소 거래 시장에서 가장 먼저 거래될 가능성이 높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 배출권을 사고팔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8월, 인도는 에너지, 철강 및 시멘트 등 초기 화석연료 대체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산업을 대상으로 탄소거래 시장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12월, 인도 의회에서 승인된 법안에 따라 탄소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이 가능해진 바 있다. 배출 목표를 초과한 기업은 목표에 미치지 못한 기업에 탄소 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다.
인도 정부의 고위 소식통은 이 명령이 2024~25년부터 적용될 것이며 탄소 무역은 2025~26년에 시작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목표는 유엔에 제출된 감축 목표인 국내총생산(GDP)의 단위가 증가할 때마다 배출되는 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같을 것이라고 관계자는 말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탄소 배출을 억제해 기후 변화를 해결하고자 하는 국가의 의지가 담겨있다.
4개 부문은 국가 산업 배출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만큼 인도 정부는 탄소 거래 시장을 통해 연간 최대 100억달러(약 13조6000억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선진국과는 다른 인도의 탄소시장
그러나 제안된 인도 탄소 시장은 배출 제한을 설정한 다음 배출 산업에 거래할 수 있는 허가 또는 배출권을 할당한다는 점에서 선진국에서 만들어진 시장과 다르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인도의 탄소 거래 시장이 중국과 유사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배출 데이터의 수집 한계, 신규 수당 지급 연기 등으로 거래가 뜸해진 것을 예로 들어 향후 인도의 탄소시장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현재 인도 정부는 환경, 전력, 신재생에너지 등 주요 부처로 구성된 위원회를 통해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업계에 대한 규칙과 목표는 12월 이전에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고 두 관계자는 말했다.
인도는 이미 13개 부문의 기업을 대상으로 목표 이상의 에너지 절약 인증서를 거래하는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의 재생에너지 기업들은 정부와 산업 사이를 중재하기 위해 지난 10월에 단체를 만들었다. 여기에는 아다니 그린(Adani Green), 히어로 퓨처 에너지(Hero Future Energies), 아야나 리뉴어블 파워(Ayana Renewable Power), 글로벌 사모펀드 메이저 KKR이 운영하는 비레센트 인프라(Virescent Infra) 등이 있다.
아다니 그룹 회장 고탐 아다니(Gautam Adani)는 지난해 9월 향후 10년 동안 1000억달러(약 136조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인데 이 중 70%를 에너지 전환에 투자할 것이라고 말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