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아다니 그룹, 호주 인권침해 소송에 美 뇌물수수 의혹까지

- 호주 원주민들, 광산 접근 금지로 인종차별 주장 - 미국발 리스크에 글로벌 사업 제동

2024-11-26     송준호 editor

인도 최대 기업 아다니 그룹이 뇌물수수 혐의에 이어 호주에서 인권침해 소송에 직면했다. 로이터 통신은 22일(현지시각) 호주 퀸즐랜드주의 원주민 단체는 아다니 그룹의 석탄 사업부를 상대로 인종차별 혐의로 인권위원회에 제소했다고 전했다.

이번 소송은 미 법무부가 가우탐 아다니 회장 등 8명을 2억6500만달러(약 3717억원) 규모의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한 시기와 겹쳤다. 아다니 회장 외에 그룹의 신재생에너지 계열사인 아다니 그린에너지의 사가르 아다니 CEO도 함께 기소됐다. 

아다니 그룹의 회장인 고탐 아다니./아다니 그룹 홈페이지

 

호주 원주민들, 광산 접근 금지로 인종차별 주장

원주민 단체는 아다니 그룹의 호주 석탄 사업부가 카마이클 석탄광산 인근 샘터에 대한 원주민들의 접근을 물리적으로 막아 문화의식을 수행할 수 없게 했다고 주장했다.

원주민 대표 에이드리언 버라구바는 "수년간 아다니의 차별과 비방을 견뎌왔다"며 "작년에 변호사들을 통해 우려사항을 담은 통지서를 보냈지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주민들은 손해배상과 사과, 관련 소셜미디어의 게시물 삭제, 언론 보도 철회, 임직원 대상 반인종차별 및 문화인식 교육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아다니 측은 "완전히 근거 없는 주장"이라며 "퀸즐랜드주와 호주 법률에 따라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운영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한 "대다수 원주민 단체와 토지이용협정 및 문화유산관리계획에 따라 2년 넘게 협력 해왔다"고 강조했다. 아다니는 또한 호주 인권위원회로부터 민원 접수에 대해 공식적인 통지를 아직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카마이클 광산은 2021년 12월 첫 석탄을 수출하기 전까지 7년간 기후활동가들과 일부 원주민 단체의 반대 운동이 있으며, 현재까지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발 리스크에 글로벌 사업 제동

아다니 그룹은 인권 문제에 이어 뇌물 이슈도 터지며 글로벌 사업에 제동이 걸리게 됐다. 

미 법무부는 아다니 회장 등이 20년간 20억달러(약 3조원)의 수익이 예상되는 인도 최대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를 따내기 위해 인도 공무원들에게 2억6500만달러(약 3717억원)의 뇌물을 제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아다니 그룹의 해외 사업들이 잇따라 재검토되거나 취소되고 있다.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DFC)는 아다니 그룹이 참여하는 스리랑카 항만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5억5300만달러(약 7759억원)규모의 대출 협약을 재검토하고 있다. DFC는 아직 자금을 집행하지 않은 상태다.

이 발표가 있고 아다니 그룹이 수행할 예정이었던  7억3600만달러(약 1조원) 규모의 송전선 사업과 20억달러(약 3조원) 규모의 공항 운영권 계약이 취소됐다.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각) '수사기관과 협력 국가들이 제공한 새로운 정보'를 근거로 아다니 그룹과의 계약을 전격 취소했다. 루토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부패와 관련된 분명한 증거나 신뢰할 만한 정보가 있다면 단호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그룹의 자회사인 아다니에너지솔루션즈는 "송전선 사업 취소가 회사 운영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밝혔으며, "케냐 공항 운영권 입찰에는 그룹과 계열사들이 참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룹은 또한 미 법무부와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혐의 제기에 대해 "근거가 없다"며 "가능한 모든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