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원전 개발 추진 논의 중
동남아시아 최대 자원부국인 인도네시아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비비 율라스와티(Vivi Yulaswati)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기획부 차관은 29일(현지시간) 미국과 러시아와의 협상을 통해 원전 개발 기술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비비 차관은 인터뷰에서 이르면 2036년부터 원전을 가동할 계획이라며, 소형모듈형원전(SMR)과 재래식 원전 모두에 관심이 있다고 전했다.
원전 개발 계획은 화석 연료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발전 에너지의 절반 이상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력을 포함한 청정 에너지원 비율은 15% 미만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을 목표로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와 석탄화력발전소 단계적 폐쇄를 포함한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하지만, 원전 건설이 적합한지에 대한 논란도 제기된다. 인도네시아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있어, 연간 수백 회에서 수천 회의 지진이 발생하는 지진 다발 지역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은 원전 건설의 안전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로이터가 비비 차관에게 원전에 대한 주문이 들어왔는지 묻자, 차관은 아직 구체적인 단계는 아니라고 답했다.
JETP와 탄소중립 목표
한편, 인도네시아는 2022년 G7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공정한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의 일환으로 200억달러(약 28조원)를 약속받았다. 이 프로그램은 개발도상국의 석탄 의존도를 줄이고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비 차관은 현재까지 JETP가 2억1780만달러(약 3054억원) 상당의 33개 탈탄소화 프로젝트를 승인했으며, 발리 지역 전기차 확대를 포함한 사업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또, 7840만달러(약 1099억원) 규모의 6개 추가 프로젝트가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JETP의 자금 조달 속도는 느리며, 이로 인해 배출량 감축 노력이 방해받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비비 차관은 최대 61억달러(약 8조5540억원)의 대출이 승인됐지만, 대출 이자율이 논란의 소지가 있어 관련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일부 인도네시아 관리들은 JETP에 자금을 제공하지 않는 서방 국가들에 대해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COP29에서의 계획 발표
지난달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COP29에서 인도네시아의 기후 특사는 향후 15년간 75GW의 재생 에너지를 구축하기 위해 국제 투자자들에게 협력을 제안했다. 인도네시아는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약속한 상태로, 이를 위해 석탄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비비 차관은 JETP 프로젝트의 자금 지원이 내년에 시작될 예정이라며, 다음 5개년 경제 계획 주기에 맞춰 본격적인 실행 단계로 넘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가 원전 개발과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로 탄소중립 실현에 나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