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에너지당국, 블랙록에 유틸리티 지분 20% ‘면허’ 연장

2025-04-21     송준호 editor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가 블랙록이 소유한 공공 유틸리티 기업의 대규모 지분을 3년 더 보유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로이터는 17일(현지시각) 전했다. 

ChatGPT 생성 이미지/임팩트온

 

블랙록, 유틸리티 기업 20% 지분 유지...자본시장 현실 인정

블랙록은 이번 결정으로 미국 내 유틸리티 기업의 의결권 주식을 최대 20%까지 보유할 수 있는 권한을 3년 연장받았다. 이는 일반적인 보유 수준인 10%보다 높은 수준이다. 다만, 단일 펀드로는 유틸리티 기업의 의결권 주식을 10% 이상 소유할 수 없다.

마크 크리스티 FERC 위원장은 의견서에서 "블랙록의 시장 지배력이 너무 강하다는 우려는 있으나, 공공 유틸리티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은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크리스티 위원장은 "자본의 상당 부분을 현재 거대 자산운용사들이 소유하거나 운용하고 있는 게 경제적인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블랙록은 성명에서 FERC의 결정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블랙록은 "에너지의 가격과 안정적인 공급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고객을 대신해 미국 에너지 부문에 수십억 달러의 자본을 계속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전했다.

 

보수·진보 양측 반발…액티브 투자자로 전환 우려

FERC가 이번 결정을 내린 후 보수와 진보 양측에서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유틸리티는 공공성과 독점성이 높은 산업으로, 블랙록과 같은 민간 투자자가 경영권까지 쥐게 되면 공정 경쟁과 공공성을 해치게 된다는 게 공통된 지적이다.

보수 성향 비영리단체 '컨슈머스 리서치'의 윌 힐드 전무이사는 “이번 결정은 너무 실망스럽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정책을 따르지 않는 FERC 위원들을 해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수 진영은 블랙록이 과거에 투자자 기후 단체에 참가한 이력을 보면, 패시브 투자자로 머물겠다는 약속을 위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진보 성향 단체들도 우려를 표했다. 소비자 단체인 퍼블릭 시티즌은 블랙록이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GIP) 인수와 같은 투자를 통해 패시브 투자자에서 액티브 투자자가 됐다고 주장했다. 

퍼블릭 시티즌의 에너지 프로그램 책임자인 타이슨 슬로컴은 로이터에 "FERC가 계속해서 우려를 표명하고 있지만, 블랙록은 건드리기에는 너무 큰 존재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블랙록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게 되면, 공정 경쟁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블랙록은 지난해 1월, 125억달러(약 17조원) 규모의 인프라 투자운용사인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GIP) 인수를 발표했다. FERC는 같은 해 9월 이를 승인했다. 당시에도 블랙록이 GIP를 통해 대규모 유틸리티 지분을 확보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애리조나와 유타 주가 주도한 19개 주 연합은 작년 11월 인수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들은 FERC에 블랙록의 요청을 거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