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제조 늘리기 위해 4조 넘게 지원

2022-05-03     유미지 editor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제조를 위해 31억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백악관

바이든 행정부는 2일(현지시간) 휘발유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배터리 제조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이른바 ‘배터리 법’으로 불리는 이 프로젝트는 시행되는데 몇 달 또는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된 바 있다. 

 

미국 에너지부, 배터리 제조, 처리 및 재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4조 37억 원 지원

배터리 공급망 관련 법이 시행된 배경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있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세계 석유 시장이 혼란에 빠지면서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미국의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시행 조정관이자 바이든의 수석 보좌관인 미치 랜드리우(Mitch Landrieu)는 “ 전기자동차 제조를 위해 리튬, 코발트, 니켈 및 흑연과 같은 리튬 이온배터리 재료를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미국 에너지부는 “배터리 제조, 처리 및 재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31억 6000만 달러(한화 약 4조37억원)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내 배터리 공급망을 강화하고 비용을 낮춰 배터리 생산을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든 행정부는 탄소배출 절감을 위해 2030년까지 자동차 판매량의 절반을 전기차로 채우려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백악관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 2030년까지 자동차 판매량의 절반을 전기자동차로 판매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는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을 내놓았다. 도로 교량 등 건설에 1100억 달러(139조원), 기후 복원을 위해 500억 달러(한화 약 63조원), 청정에너지 650억 달러(82조원), 수질개선 550억 달러(한화 약 69조 원), 전기차 충전소 구축을 위해 75억 달러(9조원) 등의 예산을 편성한 것이다.

그밖에 전기 대중교통 버스에 50억 달러(6조원), 청정 및 전기 스쿨버스에 50억 달러(6조원) 등의 예산도 배정되어 있다. 

현재 미국은 중국, 유럽에 이어 세계 3위 규모의 전기차 시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CAnalys)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신차 중 전기차는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든 행정부가 2030년까지 전기 자동차가 모든 차량 판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도록 하는 목표를 설정한 것에 비하면 너무 적은 수치다. 이에 배터리 공급을 높여 전기차 생산을 높이려는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 자금이 배터리 공급망을 확보하고 용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밝혀진 에너지 안보와 독립이라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배터리법 지원금은 리튬을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재활용하는 기술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픽사베이

 

인프라 법안 보조금까지 합하면 70억 달러(8조8700억원) 이상 될 것

31억 달러는 국내 제조를 위한 채광 또는 소싱 재료에서 새로운 추출 없이 중요한 광물을 생산하고 재활용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인프라 법안까지 합해 총 70억 달러(8조8700억원) 이상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월 전기차 배터리와 광물의 국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국방물자생산법’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기업은 리튬, 니켈, 코발트, 흑연 및 망간과 같은 전기차 생산을 위한 재료를 추출하는 프로젝트 및 연구를 위한 연방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백악관 국가기후 보좌관인 지나 매카시(Gina McCarthy)는 ” '미국산' 배터리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전국적으로 기회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캘리포니아 솔튼해에서 지열발전을 통해 리튬이 대량으로 채취하는 DLE 기술이 테스트 중에 있어 국내 생산이 가능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자금은 연방 보조금을 통해 분배될 예정이다. 각 연방 관리들은 기술 및 상업적 검토, 평가를 거쳐 배터리 및 배터리 부품 제조, 개조 또는 배터리 재활용 시설 설립을 목표로 하는 기업들에게 보조금 형태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