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런던증권거래소를 운영하는 LSEG가 2023년 글로벌 탄소 배출권 거래제(ETS) 시장 규모를 전년 대비 2% 증가한 8810억 유로(약 1260조원)로 집계했다고 로이터가 12일(현지 시각) 전했다.
유럽과 북미 시장의 기록적인 성장이 전체 시장 규모 견인
LSEG는 EU와 북미의 ETS시장의 기록적인 성장이 전 세계 시장 가치의 증가를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탄소배출권의 거래량은 2022년과 유사한 약 125억톤이 거래되어 총거래량에서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세계에서 시장 가치가 가장 높은 EU는 지난해 약 7700억 유로(약 1101조원) 규모로 전년 대비 2% 증가했고, 전 세계 시장 가치의 87%를 차지했다.
EU ETS의 탄소배출권 가격은 지난해 2월 100유로(약 14만원)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산업 구매자와 전력 부문의 수요 약세 속에 2023년 말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하락세는 올해까지 계속되어 톤당 가격이 60유로(약 8만5831원) 미만으로 떨어졌다.
LSEG는 "유럽 전역에서 경제 성장이 단기적으로 부진할 가능성이 높으며 ETS가 적용되는 산업 부문에서 추가적인 수요 둔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영국의 ETS 규모도 22% 줄어든 364억 유로(약 52조원)로, 배출권 가격은 톤당 평균 65유로(약 9만원)로 2022년보다 약 34% 하락했다.
유럽 시장의 성장 둔화와는 달리 북미와 중국은 성장에 박차를 가했다.
북미 지역은 지난해 주요 규제 시장의 배출권 가격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서부 기후 이니셔티브(WCI)에서는 톤당 39달러(약 5만원), 지역 온실 가스 이니셔티(RGGI)에서는 톤당 15달러(약 2만원) 이상을 기록했다. 중국의 배출권 가격도 10월 80.51위안(약 1만4821원)으로 2023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북미 시장은 총 714억 유로(약 102조원), 중국 시장은 23억 유로(약 3조원) 규모로 확인됐다.
- 쿡스토브 탄소상쇄 효과 10배 과장…상쇄 크레딧 신뢰성 또 지적
- 중국, 자발적 탄소시장 재개… 재생에너지 논문 수도 EU에 앞서
- 존 케리, 셰전화 미ㆍ중 기후변화특사 사임...中 탄소시장 주요 계획 발표
- 호주, 2024년까지 탄소배출권 등록소 출범…배출권 가격도 급등세
- 전 세계 탈탄소화 둔화…자발적 탄소배출권 거래 지난해보다 5% 감소
- 美상품선물거래위원회, 자발적탄소시장 지침 제시…감독기관 자리싸움 시작되나
- IOSCO, 그린워싱 법적 규제 필요성 강조…자발적 탄소시장 규제도 제시
- 일본, ETS 보증 첫 기후전환채권 발행...英은행 바클레이즈, 전환금융 프레임워크 발표
- EU 탄소가격 어디까지 떨어지나…톤당 5만원 전망도 나와
- EU 탄소 배출량 15.5% 감소…재생에너지 급증이 요인
- EU 주요 의원, "ETS2 배출권 가격목표 6만원보다 더 인상될 수도"
- 브라질 정부, 탄소크레딧 사기…구매자들에게 주의 촉구
- 유럽연합, ETS로 탄소배출 5% 추가 감축…전력·해운 산업 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