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온의 【월간 ESG 아카이빙】은 매월 분야별 ESG 트렌드를 주제별로 정리해 제공하는 연중 기획 시리즈입니다.
Key Takeaways
-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화석연료업계가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주주제안에 골머리를 앓는 중이다. 호주에서는 세계 최초로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계획을 전면 수정하라는 주주제안이 통과됐다.
- 주요 글로벌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원자력과 천연가스를 에너지 전환의 가교역할로 삼아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공급망 이슈, 지속된 고금리 환경 등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전환 연료가 필요하다는 것이 주요 논리다.
- AI수요의 폭증으로 인해, 덩달아 전력 수요 또한 급증하면서, 이를 비즈니스 기회로 삼기 위한 에너지 업계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IT업계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보를 우선시하고 있으나, 천연가스 업계는 상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메리트를 기반으로 사업 기회를 모색중에 있다.
관련기사
- 미국 최대 태양광 개발업체 파인게이트(Pine Gate), 9000억원 가량 조달
- 【월간 ESG 아카이빙】3월- 에너지&산업
- 【월간 ESG 아카이빙】2월- 에너지 & 산업
- 차세대 항공연료 중 가장 가성비 높은 연료는 SAF가 아니다?
- 세계 최대 투자자그룹, ESG 투자 지침 강화… JP모건, “기후 목표 현실적으로 재설정해야”
- 월가, AI 붐 수혜는 원자력 아닌 ‘천연가스’가 받을 것
- 【월간 ESG 아카이빙】 4월-이달의 핫이슈
- 우드사이드와 셸, 기후 투자자들 반발에 ‘흔들’
- 【칼럼】주춤하는 에너지 전환, 투트랙 전략이 해답일까?
- 일본 미즈호그룹 수소에 17조원 투자, 화학기업 아사히 카세이는 수소 파일럿 공장 가동
- AI 수혜산업은 태양광? 업황 회복 기대로, 태양광기업 목표 주가 상향
- 우드사이드, 저탄소 암모니아 공장 3조2300억원에 인수
송선우 editor
dustin93@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