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환경성과 경제단체연합회(経団連,이하 경단련)이 ESG 공시에 관한 국제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은 국제적인 금융흐름에 대응하고, 국제사회에서 발언권에 힘을 얻기 위해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환경부와 경단련은 탈탄소 사회 실현을 위해 합의서를 체결했다. 경단련은 환경과 성장의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 혁신적 기술 개발과 보급을, 환경부는 ‘ESG 금융’을 추진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한다. 더불어 ESG 공시를 위한 국제적인 기준을 만드는데도 협력한다. 일본은 2014년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계기로 ESG 투자 규모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아시아 국가 중 ESG 투자에 가장 앞장선 국가로 평가된다. 

 

ESG 정보 공개 기준은 저마다 달라 해외에서도 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공개 내용도 제각각이고 일정한 기준이 없어 기업은 공시에 부담을, 투자자들은 검증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환경성과 경단련은 ESG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보공개가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대신 기준에 통일성을 부여하기 위해 환경분야에 대한 연구나 투자, 온실가스 배출량 등 반드시 공시해야 할 항목을 정하고, 기업의 경영목표 등 수치로 나타내기 어려운 항목의 평가방법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고이즈미 신지로 환경성 장관은 “이번 협약으로 그동안 삐걱거린 관계를 타파했다”고 말했다. 

ESG 요소를 제무재표에 반영하기 위한 방법도 강구한다. 경단련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제정하는 회계기준인 IFRS에 ESG 요소를 연동한 회계기준을 검토할 예정이다. 환경성은 투자자들에게 기업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금융청과 제휴할 예정이다. 유가증권보고서에 ESG 요소를 기재한다는 방침이다.

환경성과 경단련은 기업의 의향을 반영해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각국 정부에도 협조를 요청해 나갈 계획이다. 경단련은 해외 정보를 수집하고, 회계기준 국제회의 등에 인력을 파견할 예정이다.

일본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국제무대에서 발언권에 힘이 실릴 것을 기대한다. 탄소 배출 자체를 없애는 방향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하는 유럽과 달리, 일본은 일정한 탄소 배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진 못했다. 이번 합의를 마중물로, 일본은 국제적으로 환경 선진국임을 알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증가 중인 ESG 자본을 일본 기업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