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유엔(UN) 총회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60년까지 탄소중립(0)을 달성하겠다고 선포함에 따라, 중국 내 각계각층의 저탄소경제로의 전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9일(현지시각)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핀테크 페스티벌에 화상 출연한 이강(易綱) 중국인민은행 총재가 "국가의 탄소중립 달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녹색금융 기준을 개선시키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높이고자 중국인민은행을 중심으로 친환경 에너지사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강 총재는 이러한 변화의 바람을 언급하며, "자금 용도가 친환경 사업으로 국한된 녹색대출 규모가 6월 말 기준으로 11조위안(1847조원)을 넘어 세계 최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또 그린본드 발행액도 1조2000억위안(201조원)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다고 전했다.
이같이 중국의 녹색산업과 녹색금융이 상당한 규모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40년도 안되는 기간 내에 탄소중립을 목표대로 달성할 수 있을지 의심하는 눈초리가 많다. 업계에 따르면 목표 달성을 위해 5조달러(5500조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며, 탄소배출의 주범으로 꼽히는 광산업계의 산업 축소 및 일자리 감소 등으로 사회적 혼란도 예상돼 이에 따른 비용도 상당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강 총재는 상당한 사회적 장애물이 존재하는 탄소중립 목표의 이행을 위해 중국인민은행을 중심으로 금융적 지원을 확대하는 조취를 취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에 덧붙여, 이강 총재는 "금융기관의 녹색금융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도 밝혔다. 현재 중국인민은행은 녹색금융에 대한 관리ㆍ감독을 강화하는데서 한발 더 나아가 금융권의 녹색금융 활동 공개를 의무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중국 녹색금융 시장 진입이 더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이강 총재는 녹색금융 강화를 위해 "은행 차원에서 환경과 기후 리스크가 금융 안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겠다"고 밝히는 동시에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 핀테크도 적극 활용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동안 중국 기업들의 녹색금융을 통한 수익금 사용 논란은 계속 지적을 받아왔다. 중국에서는 녹색금융의 정의가 수익금 사용 측면에서 국제적 가이드라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금융권을 벗어난 녹색 자금이 친환경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중국인민은행의 경우도 친환경 프로젝트가 아닌 일반적인 운영자금으로 녹색 채권 수익금의 절반 이상을 사용하도록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런던의 기후채권이니셔티브(Climate Bond Initiative)가 제시한 5%를 한참 웃도는 수치다.
이강 총재는 "중국 내 녹색금융 기준을 개선하고 국제적 협력을 강화해 국내외 녹색금융의 조화를 촉진하겠다"고 밝혀 향후 중국 금융권에 어떠한 친환경 바람이 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