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 ESG 정책_24.9.30.
1. 바이오 전문 투자기관, 유망 바이오 기업 투자유치위해 힘 모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국내 우수 바이오기업의 투자자금 확보 및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바이오협회, 신산업투자기구협의회와 함께 '제17회 Smart Start 우수 바이오기업 투자설명회'를 9월 27일 삼성동 오크우드 프리미어에서 개최했다.
금번 투자설명회에서 한국투자파트너스, 썬업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 대상, 안국약품, HK이노엔 등 11개 바이오 분야 전문 투자기관(VC)과 전략적 투자자(SI)가 참여하여 미래 성장 잠재력이 큰 유망 바이오기업 8개사의 보유 기술 및 투자계획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시리즈 B, C 및 상장 준비 등 투자·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또한,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구하는 투자자와 유망 바이오 기업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여 공동 연구개발 방안, 사업화 협력 방안, 투자파트너로서 협력 가능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투자설명회는 지난 4월에 이어, 올해 2번째로 개최됐으며 2016년부터 우수 바이오기업의 투자자금 확보 기회 마련 및 안정적 성장지원을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다. 투자설명회를 통해 지난 8년간 총 42개 기업이 약 3700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했으며, 동 행사에 참여해 기술력을 인정받은 엑셀세라 퓨틱스, 라메디텍 등 8개 기업이 코스닥 시장 상장에 성공하는 등의 성과를 도출했다.
바이오 산업은 약물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 임상, 허가, 생산까지 오랜 기간과 많은 비용이 필요한 만큼 지속적인 자금 투자가 필요한 분야이므로 산업부는 앞으로도 바이오 분야 투자 활성화를 위해 우수 바이오기업과 투자자 간의 네트워킹을 기회를 마련하고, 혁신적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창업-성장-재투자 전주기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2. 환경부-포장·배달 업계, 일회용 플라스틱 배달용기 10% 감축 노력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9월 27일 오후 음식점업계 협·단체, 배달플랫폼,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 자원순환사회연대와 함께 포장·배달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자발적협약을 켄싱턴호텔(서울 여의도 소재)에서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병화 환경부 차관과 9개 협약기관 대표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음식 배달문화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포장·배달용 일회용 플라스틱을 10% 이상 줄이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이번 협약은 올해 7월 기준으로 온라인 음식 서비스 거래액이 5년 전에 비해 약 3배가량 증가한 2조 5천억 원에 이르는 등 음식배달 규모가 늘어나고 이에 따른 일회용 플라스틱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마련된 것이다.
3. 탄소중립포인트, 모바일 앱 ‘카본페이’로 편리하게 모으세요
환경부는 탄소중립포인트제(에너지ᐧ자동차ᐧ녹색생활 실천) 가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신규 가입을 더욱 늘리기 위해 탄소중립포인트제 전용 모바일 앱을 9월 30일에 출시한다고 밝혔다.
모바일 앱의 명칭은 ‘카본페이(Carbon Pay)’로, 이름 공모전과 국민 선호도 조사를 거쳐 선정되었다. ‘카본페이’는 구글 ‘플레이스토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카본페이’로 검색한 후 본인 스마트폰에 내려받아 설치하면 된다.
이번 탄소중립포인트제 전용 모바일 앱은 분야별(에너지․자동차․녹색생활 실천) 누리집(홈페이지)으로 나뉘었던 웹 기반의 회원가입 절차와 접근성을 쉽고 간편하게 개선했다.
주요 기능은 ▲통합 회원가입 ▲간편 로그인(간편 비밀번호, 생체인증, 포털 연계 등) ▲손쉬운 실적조회 ▲포인트 매장 찾기(사용자 위치기반 참여매장 길찾기 기능 제공) 등이다.
또한 ‘텀블러ᐧ다회용컵’과 ‘리필스테이션’ 실천 항목에 대해서는 참여자가 ‘카본페이’를 실행시켜 정보무늬(QR) 코드를 제시하면 참여 매장․기업에 대한 별도 회원가입 없이(다만, 탄소중립포인트제 회원가입은 필요) 포인트를 모을 수 있다.
이전에는 탄소중립포인트제 회원가입과 별도로 참여매장·기업의 앱에도 별도로 회원가입이 필요해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 환경부는 ‘카본페이’ 정보무늬(QR) 코드를 활용하는 참여매장과 실천항목을 점진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