톤당 기준 탄소 가격이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책임투자원칙(PRI)의 최근 정책 전망에 따르면, 선진국들은 2019년 톤당 60달러 수준에서 2030년 톤당 최고 85달러까지 가격을 책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PRI는 전 세계 기후정책의 궤적을 파악하기 위해 ‘불가피한 정책대응(Inevitable Policy Response, IPR)'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주요 21개국을 대상으로 넷제로와 관련된 ▲탄소 가격 ▲석탄 단계적 퇴출 ▲친환경 전력 ▲수송 ▲저탄소 건물 ▲그린 산업 ▲농업 ▲토지 이용 등 8개 정책 분야를 평가한다.
124개로 구성된 프레임워크 중 거의 절반이 2019년보다 훨씬 진보된 정책을 입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가장 큰 변화가 예측되는 부문은 탄소 가격이었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탄소 시장은 4배 이상 증가할 것이며, 탄소 비용은 지금의 최소 4배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톤당 60달러 수준에서 최고 85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봤다. IFC(국제 금융공사)가 2020년 톤당 40~80달러, 2030년에는 50~1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한 예측치와 비슷한 값이다.
탄소 가격 상승은 석탄 발전을 멈추기도 했다. 지난해 독일에선 에너지 부문 탄소 배출량이 14.5% 감소했는데, 유럽의 배출권 가격 상승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배출권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석탄 발전소를 운영하는데 예전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더불어 미국이 돌아오면서 탄소 가격 상승이 더 빨라질 것이라고 봤다. 일반적으로 탄소의 톤당 가격이 상승하면 저탄소 정책 입안에 탄력을 받는다. 탄소를 줄여야 경제적 비용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I는 “미국이 이르면 2023년에 국가 탄소 가격 체계를 발표할 수 있으며, 늦어도 2025년에는 탄소 가격을 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탄소의 사회적 비용은 얼마?
탄소 정책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시나리오는 올해 말 발표될 예정이다. 11월 기후정상회의 COP26이 열리기 전까지 2030년부터 새롭게 적용될 더 엄격한 1.5도 시나리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