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주요 전기차 제조사들이 정부의 하이브리드 차량 보급 확대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로이터통신은 5월 30일(현지시각), 타타모터스(Tata Motors)와 마힌드라(Mahindra & Mahindra) 등 인도 완성차 업체들이 정부의 순수 전기차(EV) 중심 정책 기조 유지를 요구하며 집단적으로 이의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하이브리드 ‘청정차량’ 포함 권고에 업계 공동 대응
보도에 따르면 타타모터스, 마힌드라, 현대자동차, 기아, JSW MG모터 등은 최근 인도 중공업부에 보낸 서한에서 정부 차량 구매 대상에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하려는 방침에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이들 기업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내연기관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만큼, 순수 전기차에 부여된 정부 인센티브는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란의 발단은 인도 수도권의 대기질 개선을 담당하는 ‘공기질관리위원회(Commission for Air Quality Management)’가 5월 2일 발표한 권고안이다. 위원회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보다 청정한 차량(cleaner vehicles)’으로 분류하며, 정부 소속 차량에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완성차 업계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혼선을 줄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마힌드라는 “정부의 정책과 인센티브는 순수 전기차에 집중돼야 한다”고 밝혔으며, 타타모터스도 “이번 조치가 현재와 향후 전기차 프로젝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은 이번 권고안이 인도의 ‘투자 친화적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EV 성장 둔화 속 정책 혼선 우려…투자 환경 악화 가능성도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인도 정부가 보유한 차량 84만7000여 대 중 전기차는 약 5300대로, 1%에도 못 미친다. EV 제조사들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정부 인센티브 대상으로 포함될 경우, 소비자와 기업, 투자자 간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차 시장 성장에도 제약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타타모터스는 서한에서 “정책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이 부족할 경우, 특히 고정투자가 크고 기술 집약적인 전기차 산업에서는 장기 투자자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타타는 앞서 사모펀드 TPG로부터 전기차 부문에 10억달러(약 1조37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마힌드라 또한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Temasek), 영국의 국제개발금융기관(BII)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으며, 현대차 역시 인도 전기차 시장에 5억달러(약 6900억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는 인도 완성차업계가 오는 2030년까지 리튬이온 배터리와 전기차 생산에 100억달러(약 13조7000억원)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인도의 전기차 보급률은 여전히 중국, 유럽, 미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로이터는 업계 일각에서 정책 기조의 혼선이 시장 확대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