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에너지부(DOE)가 자국 최대 송전 프로젝트인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에 대한 49억달러(약 6조8600억원) 규모의 연방 대출보증을 취소했다. 이는 본래 대규모의 풍력과 태양광 전력을 동부로 이송하는 핵심 인프라 사업이었으나, 이번 대출보증 취소 조치로 인해 사업의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에너지부는 23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보증을 발급하는 데 필요한 요건이 충족될 가능성이 낮으며, 연방정부가 이 프로젝트를 지원할 필요성도 낮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 송전 인프라 핵심에서 ‘정치 쟁점화’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는 10여 년 전부터 추진되어 온 초대형 송전 프로젝트로, 미국 중부의 그레이트 플레인스(Great Plains) 지역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동부 여러 주로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당 사업자는 시카고에 본사를 둔 인베너지(Invenergy)이며, 총 110억달러(약 15조40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인베너지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15년간 약 520억달러(약 72조8000억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미주리주 등 주요 지역 전력회사들과 전력 판매 계약을 체결해왔다.

그러나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이번 철회 조치는 미주리주 공화당 소속 조시 하울리 상원의원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개입을 요청한 직후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하울리 의원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로 중단하겠다고 답했고, 대통령이 즉시 크리스 라이트 장관을 연결해 처리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크리스 라이트 장관은 올해 새로 임명된 에너지부 장관으로, 작년 11월 조건부로 승인된 이번 대출보증 건을 취소하면서, “연방 자금을 보다 책임감 있게 집행해야 한다”며 향후 바이든 행정부 시절 발급한 기타 수백억달러 규모의 대출 취소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해당 사무국은 설립 20년간 이자와 원금 회수로 연방정부에 수익을 창출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 에너지부 자체 연구부서를 포함해 북미전력신뢰공사(NERC), MIT, 프린스턴대 등 주요 연구기관은 송전 인프라 확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관련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에 재고를 요청하고 있다.

비영리단체 청정에너지그리드(Americans for a Clean Energy Grid)의 크리스티나 헤이스 전무는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는 그리드 현대화와 전기요금 절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핵심 프로젝트”라며 “정부가 이 프로젝트의 가치를 재검토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미국 지도로 보는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 사업의 범위 / 이미지 출처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 홈페이지
미국 지도로 보는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 사업의 범위 / 이미지 출처 ‘그레인 벨트 익스프레스’ 홈페이지

 

인베너지 “수십억 달러 절감·전력안보 막는 결정”…송전망 위기 심화

인베너지는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았으나, 하울리 의원에 대해 “수십억달러의 에너지 비용 절감, 수천 개의 일자리, 그리드 안정성과 국가 안보를 모두 박탈하려 한다”고 반박한 바 있다고 카나리미디어는 23일(현지시각) 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미 인프라 건설사 키위트(Kiewit) 및 콴타 서비스(Quanta)와 17억달러(2조3800억원) 규모의 시공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5년에 착공할 예정이다. 또한 캔자스, 미주리, 일리노이, 인디애나 등 4개 주의 규제기관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농민 및 대형 전력수요자 단체의 지지도 확보한 상태다.

물론 일부 토지 소유주 및 농업단체의 반발도 계속되고 있었고, 최근 일리노이주 법원이 인허가를 취소한 판결에 대해 항소도 하는 등 진행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달 초 미주리주 공화당 소속  법무장관은 해당 프로젝트가 경제적 효과를 과장하고 있다는 이유로 조사에 착수했다. 인베너지는 에너지부에 보낸 공식 서한을 통해 “관련 이슈는 이미 주 법원과 규제기관에서 결정된 사안”이라며 반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