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무역의 약 90%는 해상 운송되고 있으며 해운은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거의 3%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환경 운동가들은 배출량을 줄이려는 이 부문의 노력이 더디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해운업계의 배출량은 증가했는데, 국제해사기구(IMO)의 목표는 2008년 기준 대비 2050년까지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국제해사기구는 2050년까지 넷제로를 약속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ESG에 관심이 증폭하면서 해운회사들도 다른 교통수단과 마찬가지로 대기 오염과 해양 오염을 모두 줄여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
해운회사들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은 크게 세 방향이다. 즉, ▲선박의 속도를 줄여 배출량 감축 ▲대체 연료 사용 ▲선박에 돛을 설치하는 것을 비롯 기타 방법으로 연료 절감과 함께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MO)는 화물을 운반하는 모든 선박의 배출량을 연간 탄소 강도를 계산해서 점차 낮추도록 내년부터 요구한다고 11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먼저 첫번째 방법인 선박의 속도를 줄이는 것을 시도한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 해운업 주도국 일본, "탄소세 톤당 7만원씩 내자" 제안
- 세계 화물선, 심각한 기후 위기 당면…선박용 ‘탄소배출량 측정기’ 나왔다
- 영국, 韓中日 조선시장 잡기위해 녹색투자 확대
- 2022년 조선해양업계의 ESG 핵심 키워드는?
- 세계 최대 해운사 머스크, 넷제로 목표를 2040년으로 10년 앞당겨
- 해운산업 ‘그린 프리미엄’...녹색 금융으로 충당될까
- 녹색수소, 해운산업 청정연료, 기후재정지표…COP26 주요 아젠다
- 세계 최대 해운사 머스크, 워런버핏 지원 스타트업 ‘웨이스트퓨얼’에 지분 투자
- 글로벌 해운업계, 전 세계 탄소중립 위한 ‘분담금’ 내자
- 국내 조선업계의 '친환경 연료', 어디까지 왔나
- 포세이돈 원칙 서명기관 15곳 중 3곳만 기후변화 원칙 준수
- 글로벌 해운업계 탄소배출량 공개하는 'Sea Cargo 이니셔티브' 출범
- 롱비치 시의회, 2030 해상운송 넷제로...갈 길 먼 해상운송의 탈탄소화 해법은?
- 탈탄소를 향해 새로운 기술에 도전하는 해운업계
- 한국조선해양, 메탄올 선박에 베팅하는 이유...가삼현 부회장 FT 인터뷰
- 연부터 돛까지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범선들 늘어난다
- UN사무총장, 해운업계의 넷제로 합의 촉구….일부는 반발
- 선박업계, 전기차 배터리 화재 대책 미비… 자동차 제조업체 비용 증가에도 영향
홍명표 editor
hong@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