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로스쿨 기업지배구조 포럼, '2022 투자자 투표 보고서' 발간
주주권 행사가 3월 주총을 앞두고 다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하버드 로스쿨 기업지배구조 포럼(HLS, Harvard Law School Forum on Corporate Governance)은 지난 14일(현지시각) ‘2022 투자자 투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러셀 3000 기업에 제기된 ESG 관련 주주제안과 투표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했다.
HLS는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별로 발생한 주주제안 수, 주요 안건, 통과된 투표 및 변화 추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정리했다. 데이터는 글로벌 의결권 조사기관인 인사이티아(Insightia)와 협력하여 러셀 3000에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했다. 러셀지수는 미국의 1만여 개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을 계산한 지수다. 러셀 3000은 상위 3000개 대기업을 의미한다.
엔진넘버원이 2021년 엑손모빌의 주총 반란을 일으킨 이후로 주주권 행사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늘었다. ‘튤립셰어’와 같은 플랫폼은 조각투자로, 블랙록은 보팅 초이스 이니셔티브로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촉진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최근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가 촉발한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이 언론을 달궜다.
E(환경), 온실가스 감축은 찬성…화석연료 중단은 반대
관련기사
- 미국 내 주주제안 다양해지고 영향력은 커졌다, 한국ESG기준원 분석
- 블랙록, 이젠 ESG 지원 안하나?…주주제안 지지 절반 이상 철회
- 블랙록, 급진적인 주주 제안에 속도조절 하나
- 캐나다 '주주투표 이사 선출' 법적 근거 제시, 주주행동주의 시험대
- 주주권 행사에서 ESG평가 뺀 국민연금…주주행동주의 발걸음 느려질까
- KoSIF 보고서, 국민연금의 주주의결권 행사의 문제점 지적
- ESG 대 反 ESG가 아닐 수도 있다
- 안티 ESG 주주제안, 주목은 받지만 지지는 못 얻었다
- 일본 자산운용사, 주주 행동주의 선도한다
- 올해 미국 주총에 주주 제안이 없었던 이유
- ISS, 주주와 자산운용사에 상반된 자문으로 빈축...ESG 투자자간 의견 엇갈리기도
- 행동주의 투자자가 ESG 기수? 화석연료 투자 보니, 반은 맞고 반은 틀려
- 찬성률 높아지는 주주제안과 못마땅한 기업의 줄다리기
- 국내에도 MZ 개미 주주행동주의 시작? …빅웨이브, 포스코 상대 캠페인 열어
- 아마존, '이번 주주제안 18건' 최대 기록…지난해엔 15건 모두 부결
- ESG 투자자, 기업에 ‘세금 내역 공개’ 압박한다
- ESG 강화 위한 권고적 주주제안 도입, 국내에도 가능할까?...국회 토론회
- HSBC, 동종업계서 유일하게 팔로우 디스 주주 결의안 지지… LGIM, Abrdn은 반대
- 투자사 36곳, ISS에 ESG를 주총에 완전히 통합할 수 있는 지침 요구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