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매년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1억7000만미터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이는 석탄 화력발전소 42개가 배출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미국에서만 연간 1억톤 이상의 음식물이 폐기되며,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고 매립장이나 소각장으로 보내진다. 음식물 폐기물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증가로 이 수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음식물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생물로 음식물을 분해하는 린클(Reencle), 음식물을 비료로 만드는 비타믹스(Vitamix), 로미(Lomi) 등 스타트업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음식물 재활용을 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천연가스나 닭 사료 등 새로운 자원으로 바꾸는 스타트업 2곳을 소개한다. 

 

엔브릿지-다이버트, 음식물 쓰레기를 천연가스로 만들어 공급

엔브릿지는 다이버트와 협력해 음식 폐기물을 재생 가능한 천연가스로 바꾸는 시설을 개발할 계획이다/언스플래시
엔브릿지는 다이버트와 협력해 음식 폐기물을 재생 가능한 천연가스로 바꾸는 시설을 개발할 계획이다/언스플래시

캐나다 파이프라인 및 에너지회사 엔브릿지(Enbridge)는 소매업계에 식품 및 폐기물 회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이버트(Divert)와 협력해 음식 폐기물을 재생 가능한 천연가스로 바꾸는 시설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엔브릿지는 북미 주요 에너지 공급 회사로, 유럽 대륙 원유 생산량의 약 30%를 수출하고 미국에서 소비되는 천연가스의 약 20%를 수송하는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미국 걸프만에서 음식물을 액화천연가스로 변환하는 4곳의 시설을 공급하고 있는데 다이버트와 손잡고 2-3개 시설을 추가 공급할 예정이라고 지난 4일(현지시간) CSR와이어가 보도했다.

엔브릿지는 3월 초에 열린 연례 투자자 회의에서 다이버트의 지분 10%를 인수했으며, 10억 달러(약 1조3173억원) 이상의 신규 자금을 투자해 미국 전역에 음식물 폐기물을 변환해 천연가스로 확대공급할 예정이다. 

다이버트는 식품 소매업계의 음식물 쓰레기를 관리 및 추적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을 제공한다. 이번 협업을 통해 천연가스 공급원료와 관련된 기술을 소매업에 적용해나갈 계획이다. 

 

하루 1달러로 음식물 쓰레기를 닭 사료로 만들어주는 밀(Mill) 서비스

밀은 음식 찌꺼기를 재활용해 닭 사료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밀
밀은 음식 찌꺼기를 재활용해 닭 사료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밀

미국 스타트업 밀(Mill)은 소비자들이 과일, 야채, 고기, 생선, 달걀, 뼈, 껍질 등 주방 내 모든 음식물과 음식 찌꺼기를 재활용해 닭 사료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 에너지 임팩트 파트너스, 로워 카본, 프리루드, 구글 벤처스로 부터 약 1억 달러(약 1317억원)의 자금을 받았다. 

경쟁력 있는 유사 스타트업 중 밀이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이용 편의성이 높은 스마트 기술 솔루션이다. 음식물 처리 쓰레기통 내부가 코코넛 재질로 되어 있어 악취가 나지 않으며 노폐물을 건조, 수축 및 탈취시켜 커피 가루와 같이 영양분이 풍부한 사료로 퇴비화한다. 이 모든 과정을  소비자가 집에서, 단 몇 시간만에 할 수 있다. 퇴비화된 사료를 퇴비 박스에 보관한 뒤 어플을 통해 신청하면 수거까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밀은 여러 측면에서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를 뒀다. 소비자가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한 입자로 만들도록 설계했으며, 앱을 통해 얼마나 탄소를 절감했는지 등 여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주방기기, 푸드 그라운드 배송 우편 서비스, 앱, 기술 지원 등을 포함해 한 달 이용료는 총 33달러(약 4만원)다. 

밀의 CEO인 매트 로저스는 전직 애플 엔지니어이자 구글 네스트의 공동 창업자였다. 그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음식 폐기물을 줄일 뿐만 아니라 닭 사료의 생산량을 줄였다”며 “농부들에게 닭 사료를 판매한 수익의 일부를 회원들이나 농부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데 사용한다”고 말했다.

밀은 지난 1월 부터 워싱턴주 타코마시와 함께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2015년 타코마시 지속가능물질 관리 폐기물 흐름 조성 연구에 따르면, 타코마 주거 폐기물 흐름의 약 28%를 주방 쓰레기가 차지하고 있다. 밀은 주민들이 자사 서비스를 이용하면  쓰레기 통의 크기에 따라 한 달에 12.8달러(약 1만원)에서 25달러(약 3만원) 정도 도시 폐기물 요금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타코마시는 2012년부터 주거용 음식물 폐기물을 수집 및 재활용하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 매년 매립지에서 퇴비 가능한 음식물 폐기물을 수거해 최대 1000톤까지 재활용했다.

타코마시의 폐기물 재활용 담당 매니저인 르위스 그리프트(Lewis Griffith)는 “우리는 약 10년 동안 격주로 음식물을 수거해왔지만 여전히 1만톤의 음식물 찌꺼기와 먹지 않은 음식들이 매년 매립지로 버려진다”며 “밀과의 혁신적인 접근방식을 제공해 주민들이 가정에서 기후변화에 실질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최초의 지자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협약의 일환으로, 타코마시는 6만명의 구독 회원권을 우선 구매했으며 이번 3월부터 음식물 재활용 쓰레기통을 배달할 예정이다. 밀은 식량 위기를 해결하는 단체에 주민 회원 1인당 일정 금액을 기부할 계획임을 밝혔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밀 #음식물 쓰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