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A가 ‘전력 중간 리포트’를 통해 AI, 에어컨으로 인해 2024년 세계 전력 수요가 20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 픽셀
IEA가 ‘전력 중간 리포트’를 통해 AI, 에어컨으로 인해 2024년 세계 전력 수요가 20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 픽셀

IEA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전력 중간 리포트’를 내고, 2024년 세계 전력 수요가 20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관련 내용은 블룸버그, 로이터, 서스테이너블 뷰 등의 외신이 보도했다. 

IEA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 수요는 2023년 2.5%에서 2024년 약 4%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예외적인 반등을 제외하면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연간 성장률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미국의 날씨가 더워지고 경제 성장률이 높아지면서 전력 수요도 늘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2025년에는 전 세계 공급량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보다 5% 증가한 3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태양광 발전만으로도 2024년과 2025년 세계 전력 수요 증가량의 약 절반을 충족할 것으로 보이며, 태양광과 풍력을 합치면 전력의 약 7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수력 발전의 점유율을 앞지르는 결과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생산이 늘어나더라도 석탄 발전의 사용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온 상승으로 인한 에어컨 수요 증가

지구 평균 기온의 기록적인 상승과 극심한 폭염이 지속된 한 해 동안, 인도, 중국 등 일부 나라에서 전기 소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컨 사용 증가가 전력 수요 증가의 주요 요인이다. 

인도의 경우 경제활동은 활발한 반면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올해 전기 소비가 8%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중국 또한 청정에너지 기술을 포함해 다양한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6% 이상의 상당한 전력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연합은 2년간의 위축에서 벗어나 1.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성장 속도가 어떻게 지속될지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전했다. 

미국도 날씨가 예년과 비슷한 상태로 돌아가면서 2023년 전력 소비는 감소했고, 이를 통해 후 3%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IEA 에너지 시장 및 보안 책임자인 사다모리 케이스케(Sadamori Keisuke)는 "올해와 내년의 세계 전기 수요 증가는 지난 20년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우리 경제에서 전기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폭염의 영향도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에어컨에 대한 더 높은 효율 기준을 세우는 것은 전력 시스템에 대한 냉각 수요 증가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전력망의 확장 및 강화도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AI, 데이터 센터가 전기 자동차보다 더 많은 전기를 사용

미국에서는 컨설팅 회사, 투자 은행 등 금융업계가 AI를 바탕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IEA는 이로 인해 2030년까지 데이터 센터는 전체 전력의 4~10%를 사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암호화폐를 제외한 데이터 센터의 소비는 2022년 전 세계 전력 수요의 약 1~1.3%에서 2026년까지 약 1.5%~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데이터센터가 2023년 버지니아 주의 전력 소비를 2.2GW 증가시켰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리스타드 에너지(Rystad Energy)는 연구를 통해 미국의 누적 전력 수요는 기존 데이터 센터와 AI 기반 데이터 센터, 반도체 파운드리가 합쳐져 ​​확장되면서 2023년부터 2030년까지 177TWh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총 필요한 전력량은 307TWh에 달한다. 

반면 EV의 전기 수요는 2023년 18.3TWh에서 2030년 131TWh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블룸버그 통신은 “전력 데이터 센터가 얼마나 소비했는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과거 데이터가 부족하고 배치 속도와 관련된 매우 광범위한 불확실성이 미래 예측을 까다롭게 만들 것”이라며 정확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