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저지 주 당국은 지난 3일(현지시간) 새로운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당일 사인한 연방 해상풍력 프로그램을 검토하라는 행정명령이 해당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신호라고 로이터 통신은 분석했다.
뉴저지 주는 미국 내 주요 해상풍력발전 지역으로 여겨져 왔다. 필 머피(Phil Murphy) 주지사는 청정에너지를 증진하고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의제의 일환으로 2040년까지 1만1000메가와트를 설치하는 목표를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셸(Shell)이 '애틀랜틱 쇼어 해상풍력(Atlantic Shores Offshore Wind South)’ 프로젝트에 투입한 투자금을 회수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이러한 목표 달성이 불투명해졌다.
애틀랜틱 쇼어 프로젝트는 셸과 프랑스 전력공사(EDF)가 합작 투자한 것으로,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의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완공 시 약 1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인 2800MW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됐다.
뉴저지 공공사업위원회(BPU)는 셸이 투자를 철회한 것과 연방정부의 지원 불확실성을 고려해 해상 프로젝트 계약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프랑스 전력공사 EDF의 자회사 EDF 리뉴어블스(EDF Renewables) 대변인 샌디 브라이너(Sandi Briner)는 로이터 통신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최근 입찰이 프로젝트 선정 없이 마무리된 것은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반풍력 행정 명령은 미국의 일자리, 에너지 생산 및 투자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해로운 엄청난 불확실성을 만들어냈다"고 덧붙였다.
애틀랜틱 쇼어 프로젝트 대변인은 "회사가 BPU 발표에 낙담했지만 다른 계약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EDF 와 함께 프로젝트를 계속할 것이라고 성명을 통해 전했다.
일본, 외국 투자 유치 염두에 두고 국내 해상풍력 목표 상향 조정
한편 일본은 외국 투자를 통해 일본 내 공급망을 구축해 204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소의 국내 조달 목표를 현재 60%에서 약 70%로 높일 계획이라고 닛케이 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은 2050년 탄소 중립을 위해 2040년까지 해상풍력으로 최대 45GW를 달성하는 목표를 내세운 바 있다. 이를 위해 법률 개정까지 하면서 더 넓은 해역에 해상풍력설비를 설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는 현재 풍력 터빈 제조업체가 없고, 핵심 구성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GE 버노바(GE Vernova), 베스타스(Vestas), 지멘스(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와 같은 서구 기업이 이 산업을 지배하고 있지만 이들 제조업체 중 일본에 풍력 터빈용 나셀, 터빈 블레이드 및 기타 핵심 부품을 생산하는 공장은 없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미국의 해상풍력 시장이 불확실성에 직면하자, 이들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새로운 목표를 설정한 것이다.
일본은 2030년까지 10기가와트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용량을 확보하고, 2040년까지는 30~45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용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일본 자원에너지청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일본의 고정식 해상풍력으로 1킬로와트시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은 30.9엔(약 290원)이다. 육상 풍력 발전 비용인 16.3엔(약 153원)의 두 배에 가까운 비용이지만 해상풍력은 2040년까지 일본에서 주요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유식 풍력 터빈이 일부 용량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발전 비용은 고정식 해상풍력의 경우 14엔(약 132원), 육상 풍력의 경우 14.5엔(136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닛케이 신문은 전했다.
전문가 패널은 일본 대부분을 둘러싼 수심이 깊은 바닷물에 더 적합한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2040년 목표를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목표는 여름까지 확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 패널은 이번 달 말에 회의를 시작하여 조달 목표와 필요한 지원 조치를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 노르웨이 국부펀드, 재생에너지 투자 지속…셸 철수에도 EDF는 해상풍력 사업 사수
- 트럼프, 해상풍력 임대 중단 선언…유럽 기업들 주가 줄줄이 하락
- 트럼프, "영국 정부의 해상풍력 정책은 큰 실수... 풍차를 없애라"
- 【박란희의 TalkTalk】오스테드 해상풍력산업 도전과 기회, 재난 채권, 트럼프 시대
- 2025년 가동하는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는?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산업부, 해상풍력의 공급망, 안보 강화
- 셸의 재생에너지 부문 임원, 해상풍력기업 오스테드로 이직
- 【ESG Deal】 오스테드, 대만 풍력발전소 지분 50% 16억4000만 달러에 매각
- 【ESG동향】오스테드(Ørsted), 라스무스 에르보 신임 CEO 선임…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비전 강화
- 日 해상풍력, 고금리·원자재 비용 상승에 프로젝트 재검토 잇따라
- 일본 대기업, 재생에너지 사용 증가로 CO2 배출량 31% 줄어
- 해상풍력법 본회의 통과 가능성 높아져...기존 사업 허가절차 문제 해결해야
- 버검 美 내무장관 해상풍력 전면 재검토…기존·신규 프로젝트, 기준 차등 적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