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S 재정 활용해 ‘산업 탈탄소화 은행’ 신설
- ETS 재정 배분 조정… 일부 부문 예산 축소 전망
- CBAM 시행 앞두고 ETS 시장 변화 전망…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가능성
유럽연합(EU)이 탄소배출권(ETS) 판매 수익을 활용해 산업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각) EU 집행위원회는 ‘청정 산업딜(Clean Industrial Deal)’을 공식 발표하고, ETS 수익을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산업 전환에 집중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청정 산업딜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과 제조업 부문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하는 종합 정책 패키지다.
ETS 재정 활용해 ‘산업 탈탄소화 은행’ 신설
관련기사
- EU, 옴니버스 패키지 발표…CSRD 대상 기업 80% 제외
- EU, 에너지 비용 절감 대책 발표…연 400조원 절감 목표
- EU, 탄소국경세 대상 기업 대폭 면제 초안 공개
- 뉴질랜드, 탄소 포집·저장(CCUS) 크레딧 허용…ETS 공식 연계로 기업 투자 유인
- EU, 에너지 계획 통해 올해 화석연료 수입 비용 47조원 절감 전망
- 탄소 감축 목표 완화한 EU… 유럽 車업계 전기차 전략 재조정 불가피
- 【월간 ESG 아카이빙】 2월 - 반도체/IT/철강/조선
- 美 유틸리티 글로벌, 친환경 수소 기술 상용화… 아르셀로미탈·OPG 등 771억 투자
- 영국, 탄소배출권 가격 11% 급등…EU 시장 연계 검토 영향
- EU, 철강·금속 액션 플랜 초안 발표 예정...청정산업딜 핵심 축
- 아마존, 미국 협력업체 대상 탄소배출권 서비스 출시
- 베라, 중국 벼농사 탄소감축 검증기관 4곳 자격 정지
- 英, 순환경제전략ㆍ세계 최초 자연 금융 표준 발표
- 유럽연합, ETS로 탄소배출 5% 추가 감축…전력·해운 산업 주도
- 전 세계 배출권거래제 도입 확대…3년 새 28→38개 급증
- EU-영국, ETS 상호 연계 추진 합의
- EU 회원국들 'ETS2 가격 안정화' 요구…민간 부담 완화 목적
이재영 editor
lee_jaeyoung@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