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내 새로운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해 미국 전력회사들에 발전 용량 증설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 통신이 미국 주요 전력회사 13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절반 가까운 기업들이 데이터센터로부터 최대 수요 및 기존 발전 용량에 관한 문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유틸리티 기업들은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수십억 달러의 추가 자본 지출을 발표했다. 일부는 5개년 투자 계획을 두 배로 늘렸다. 그러나 수요 예측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러한 투자 결정은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만약 전력회사가 수요를 과소평가할 경우 불안정한 전력망으로 인한 정전 위험이 커진다. 반대로 과도한 설비 구축은 소비자에게 추가 비용 부담을 안길 수 있다.
관련기사
- 트럼프發 관세 전쟁, 청정에너지 영향은?…배터리 가격 17% 뛴다
- 트럼프, AI 데이터센터 건설 본격 추진…청정에너지 빠진 계획에 민주당 반발
- 2024년 전 세계 신규 전력 설비 92.5% 재생에너지…중국 비중 64%
- 美 가정 정전·요금폭탄 피하려 ‘배터리 자급자족’…BESS 설치 64% 급증
- 美 에너지부, 전력회사 PG&E에 역대 최대 대출…전력망 개선에 투입
- 주요 유틸리티 회사들, 기후 목표 변경 또는 연기
- AI 시대, 데이터센터의 길은 원전뿐?…구글 이어 아마존도 SMR 계약 체결
- 텍사스, 미국 최대 배터리 시장으로 부상…관세 전쟁에 흔들리나
- ‘전력 블랙홀’ 데이터센터에 “2035년까지 35억톤 더 배출”…BNEF 보고서
- “친환경 전력 없으면 투자도 없다”…글로벌 기업들, 공급망까지 바꾼다
- 美 NREL, 전력망 최적화에 ‘양자’ 실전 검증 돌입…스페인 정전 사태, 해법 찾을까
- 스페인 정전이 남긴 교훈…신재생 확산 속 ‘배터리의 시간’이 온다
- 국제전기통신연합 보고서, "데이터센터 전력소비, 전체 전력 증가율보다 4배 빨라"
키워드
Tags
#전력수요
#발전소
#송전망
#유틸리티기업
#빅테크
#AI
#데이터센터
#건설취소
#프로젝트입찰
#마이크로소프트
#임대계약해지
#과잉공급
#AI모델변화
#원자재가격상승
#금리인상
#구축비용
#딥시크
#셈프라
#온코르일렉트릭
#PPL
유미지 editor
josee@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