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부전력 풍력발전 현황도 / 이미지 출처 추부전력 홈페이지
추부전력 풍력발전 현황도 / 이미지 출처 추부전력 홈페이지

일본 추부전력이 자회사 씨테크(C-Tech)가 검토 중인 일본 내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사업성 평가를 올여름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이터는 29일(현지시각) 추부전력이 실적발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프로젝트 손실 확대에도 “재검토 일정 변동 없다”

2021년 미쓰비시상사와 C-Tech는 아키타현 및 지바현에 총 1.76기가와트(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소 3개소를 개발할 사업자로 선정됐다. 상업운전 개시는 2028년부터 2030년 사이로 예정돼 있었다.

그러나 올해 2월 양사는 사업 환경 악화를 이유로 프로젝트 재검토에 들어갔다. 해상풍력 사업의 글로벌 비용 리스크가 일본에도 현실화된 셈이다.

미쓰비시는 2023회계연도(2024년 3월 말 종료) 기준 해당 3개 프로젝트에서 약 524억엔(약 4740억원)의 손을 기록했다. 추부전력도 엔화 약세, 공급망 병목, 금리 인상 등에 의해 증가한 건설비용으로 인해 186억엔(약 1680억원)의 손실을 반영했다.

추부전력은 올해 4~6월 분기에도 인건비 등으로 해당 프로젝트에서 수억엔 규모의 추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추부전력의 호리베 다케히데 총무부장은 실적 발표 자리에서 “이번 여름까지 타당성 재검토를 마무리한다는 일정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전력 수요 및 관세 영향은 제한적…손실은 한국에도 '경고등'

한편 미국의 대일 수입관세 조치가 영향을 미쳤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호리베 부장은 “도요타자동차 본사가 위치한 일본 중부 지역의 산업용 전력 수요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변동이 없었고, 기존 전망치와도 일치한다”며 “현재까지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추부전력은 4~6월 분기 연결기준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4.3% 감소한 853억엔(약 772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소매 전력 사업에서의 비용 증가와, 해외 및 재생에너지 사업을 담당하는 JERA(추부전력과 도쿄전력이 공동 출자한 합작법인)의 기여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역시 일본과 마찬가지로 후발 주자로서 해상풍력 대규모 계획을 국가 차원에서 추진 중이다. 두 나라 모두 민관 합작 사업구조, 해외 부품 의존도, 공급망 병목 리스크 등을 공유하고 있어, 일본의 손실 반영은 한국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도 유사한 사업성 위기 가능성을 시사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