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롬비아 스타트업 이디나는 디자인 업체와 공동으로 휴대용 전기 램프 워터라이트를 개발했다/운더만 톰슨
콜롬비아 스타트업 이디나는 디자인 업체와 공동으로 휴대용 전기 램프 워터라이트를 개발했다/운더만 톰슨

 

콜롬비아 과히라 반도는 남아메리카 최북단에 있는 해안 사막으로,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이다. 공공 시설 서비스가 공급되지 않아 주민들은 수 백년 동안 전기를 이용하는 데 늘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소금물만으로 전기 램프를 충전해 전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콜롬비아 재생에너지 스타트업 이디나(E-dina)는 디자인 에이전시 운더만 톰슨(Wunderman Thompson)과 공동으로 ‘워터라이트(WaterLight)’라는 휴대용 램프를 개발했다. 이 무선 램프는 500ml의 바닷물이나 소금물을 충전하면 물이 전기로 전환되며, 24시간 내내 최대 약 45일 동안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장치는 통합 USB 포트를 통해 휴대전화나 다른 소형 장 치 충전도 가능하며, 기존 태양광 램프와 달리 충전과 이용이 간편해 접근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운더만 톰슨의 파이프 루이즈 피네다(Pipe Ruiz Pineda) 전무는 “워터라이프는 약 두 컵의 바닷물으로 전기에너지 전달이 즉각 이루어지는 반면 태양광 램프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태양 에너지를 대체 에너지로 변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태양이 떠있고 일정량 이상의 태양광 에너지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날씨 변동이 심하거나 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은 태양광 램프를 이용하는 데 제약이 있다”며 “우리는 바닷물 충전만으로 이용가능한 이온화 방식으로 제품을 개발했다"고 덧붙였다.

워터라이트는 바닷물 액체에 있는 전해질이 램프 내부에 있는 마그네슘과 구리판과 반응하는 이온화 반응을 거쳐 전기를 생산해 24시간 작동이 가능하다. 총 5600여 시간 동안 전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 주기에 따라 최대 2년에서 3년 동안 지속된다.

휴대폰 충전도 가능한 워터라이트/운더만 톰슨
휴대폰 충전도 가능한 워터라이트/운더만 톰슨

 

우라판 나무로 만들어진 원통형 케이스 윗면에 있는 구멍을 통해 바닷물을 넣으면 램프 내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고, 밑면에 있는 통합 회로에서 전기가 생성된다. 원통형 램프에 있는 소금 입자가 증발한 후에는 다시 소금물을 리필할 수 있으며, 램프 제품을 모두 이용한 이후에도 100% 재활용할 수 있다. 제품 손잡이로 이용되고 있는 끈은 과히라 반도 지역 공예가들이 직접 제작한 것이다.

과히라 반도 지역주민들은 이 램프를 이용해 야간에 물고기 채취 작업이 가능해졌으며, 공부, 여가생활 등 수많은 지역 사람들이 저녁 시간 이후 일상 생활을 즐길 수 있었다. 태양광 램프에 비해 가격 측면에서도 60-100달러 가량 더 저렴하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 8억4000만 명이 전기를 접할 수 없어 낮 이후에는 생계를 위한 작업이나 일상생활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2035년까지 전력수요가 7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화석연료 등 전통적인 전기공급원으로는 한계가 있어 전기 대체 공급원이 시급히 필요하다.

이디나와 운더만 톰슨은 “첫 수혜지역으로 과히라 반도를 선택한 것은 콜롬비아 정부가 이 반도를 잊어버렸기 때문”이라며 “비영리 단체와 정부와 협력해 과히라 반도처럼 다른 가난한 해안 지역 사회에 빛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안에 가까이 위치한 시리아, 시에라리온, 소말리아와 같은 지역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 세계 난민 위기가 악화되기 시작하면서 워터라이트는 자원이 부족한 이민자들에게 필수품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루이즈 전무는 “주변에 해안이 없거나 바닷물을 공급할 수 없는 위급상황에서도 소변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