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어벤져스'가 결성됐다.
17일(현지시각) 자산운용사 블랙록,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MS), 미국 사모펀드 GIP(Global Infrastructure Partners),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부다비 정부가 관리하는 기술전문투자사 MGX는 지속가능한 AI 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결성한다고 밝혔다.
파트너십의 명칭은 GAIIP(Global AI Infrastructure Investment Partnership)으로 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인프라 구축 및 확장을 목표로 한다.
로이터는 이번 파트너십이 채권 등 부채 금융을 포함해 최대 1000억달러(약 133조원)의 투자 금액을 조달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 뿐 아니라 인프라 시장 선점 노리는 듯
블랙록 CEO 래리 핑크(Larry Fink)는 "AI 인프라, 특히 데이터센터와 에너지원에 민간 자본을 동원함으로써 수조 달러 규모의 장기적 투자 기회가 열릴 것"이라며, "이번 투자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MS CEO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또한 "AI는 혁신을 촉진하고 모든 산업 부문의 성장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번 파트너십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글로벌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센터 급증에는 어두운 면도 있다. 에너지 사용 급증으로 늘어난 탄소배출량은 MS 등 대형 기술기업들의 탈탄소화 목표에 커다란 도전이 되고 있다. 실제로 MS는 AI 컴퓨팅 수요 급증으로 2023년 스코프 3 배출량이 2020년 배출량보다 30%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구글과 아마존도 AI 관련 에너지 문제 해결을 탈탄소화의 주요 과제로 지목했다.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최근 몇 달 간 재생에너지 구매 계약을 확대하기도 했다.
로이터는 파트너십의 펀드 운용은 MGX가 총괄할 것이며, AI 칩 선도기업인 엔비디아가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칩 및 기술적 전문지식을 지원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 원전에 투자하기 시작한 ESG 펀드
- MS, 또 탄소 크레딧 구매... 이번엔 멕시코 열대우림 복원 프로젝트
- MS, 공급망 탈탄소화 전담팀 신설...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영향 있나?
- MS, EDPR과 20년짜리 재생에너지 PPA 계약 체결... 싱가포르 최대 태양광 프로젝트
- 블랙록, ESG와 멀어지나…지속가능성 주주제안 지지율 역대 최저치
- 블랙록, 기후 스튜어드십 가이드라인 발간…ESG 주주행동주의 방향은
- 블랙록, 아시아 AI 인프라 투자 박차... 데이터 센터 물 수요 향후 5년 내 2배 증가할 것
- AI 안전 시대 도래하나? 미 FTC, AI 불공정 사용 회사 단속…캘리포니아 주 AI안전법 승인 코앞
- 블랙록의 남다른 실용주의…은퇴상품 대대적인 강조, 지속가능투자상품엔 소비자 선택권 제공
- 액센츄어 "전 세계 2000대 기업 중 16%만 넷제로 달성 가능…AI 활용이 핵심"
- 엔비디아 대항마, 텐스토렌트에 몰리는 관심…베조스, 삼성, LG 투자
- GE 버노바, AI 전력 수요 급증에 따라 천연가스 터빈 판매 늘어
-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의 발전에 영향 미칠까?
- 소프트뱅크, 암페어 컴퓨팅과 9조원 규모 인수 계약...엔비디아와 경쟁 본격화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