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개 기업 중 포드와 폭스바겐 하위권...기아 2위, 현대차는 8위
- 전기차 판매 비중 24%로 증가…유로7 약화 요구는 들어줘선 안 돼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2025년 적용되는 배기가스 규제인 유로7을 유예해야 한다고 요구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이 기준을 달성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럽의 환경단체인 교통과 환경(T&E)은 지난 17일(현지시각) ‘2025년을 향한 드라이브: 2024년 상반기 EU 탄소 목표를 향한 자동차 제조업체의 진행 상황’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T&E는 시장조사 분석기관인 글로벌데이터(GlobalData)를 통해 유로7을 준수하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자동차 제조업체의 탈탄소 현황과 향후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유했다.

이 규제는 5년 단위로 설계된다. 유로7은 2025년, 유로8은 2030년 목표를 제시하게 된다. T&E는 해당 규제의 효과가 배출량 감축에 큰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T&E는 2020년 유로 6가 시작되기 전 9월에는 기업들의 목표 달성 수준이 절반에 불과했으나, 규제가 적용된 이후에는 초과 달성하는 기업들이 등장했고 유로7과 그 이후의 추세도 유사할 것으로 전망했다.

 

10개 기업 중 포드와 폭스바겐 하위권...기아 2위, 현대차는 8위

IMPACT ON(임팩트온) 유료 기사 전문은
회원가입+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