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전경련이 발표한 ‘글로벌 ESG 확산 추세가 국내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대상 의견조사에서 SK가 국내 기업 중에 가장 ESG 대응을 잘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ESG 우수기업은 해외=마이크로소프트ㆍ테슬라 

국내=SKㆍ삼성전자ㆍLG화학

조사에 따르면, SK는 조사대상 국내 기업 중에 ESG 대응을 잘하는 기업으로 가장 높은 응답을 받았다. SK 다음으로 LG화학과 삼성전자, KB금융 등이 꼽혔다. 시멘트 제조업체 쌍용양회와 효성, 포스코, 정유회사 S-오일 등도 언급됐다. 해외 기업 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높았으며 테슬라와 애플, 파타고니아(아웃도어의류) 순이었다.

 

 

국내 기업의 ESG 대응 수준에 대해 대기업이 10점 만점에 7점으로 가장 높았지만 중소기업 점수가 4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기 때문에, 향후 중요성이 커질 ESG 경영에 중소기업의 (ESG 대응) 역량 확보가 시급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업종별로는 해외의 경우 ESG 우수 기업중에 IT·테크기업의 비중이 높은 반면, 국내는 철강, 정유를 비롯해 제조업, 금융업 등 다양한 산업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중에 가장 중요한 이슈는 60%의 응답 결과를 받으며 환경(Environment)이 꼽혔으며 사회(Social)가 26.7%, 거버넌스(Governance)가 13.3%로 뒤를 이었다.

ESG를 평가하는 지표에 대한 조사에서는 기후변화와 탄소배출이 26.7%로 가장 높았으며 지배구조가 17.8%, 인적자원관리는 13.3% 기업행동과 청정기술 및 재생에너지가 각각 11.1%의 응답결과를 받았다.

 

석유제품>석유화학>철강순 타격 전망
반도체>이차전지>자동차=바이오는 전망 밝아

향후 글로벌 투자유치와 수출에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은 석유제품이 28.9%로 가장 높았다. 반면 가장 전망이 밝은 산업에 대한 조사에서는 반도체(28.9%)가 꼽혔으며 이차전지(26.7%), 자동차(11.1%) 순이었다. 전경련은 “자동차의 경우, ESG 확산으로 인한 타격 전망과 긍정적 전망이 동시에 제시됐다”면서 그 이유로 “현재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공동 생산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리서치 센터장들이 기업의 ESG 평가와 관련해서 가장 많이 참조하는 기관은 모건스탠리(MSCI)로 40%의 응답 결과가 나타났다. 이어 블룸버그(ESG Data)가 15%, 톰슨로이터스·서스테널리틱스·한국기업지배구조원 등이 각각 10%였다.  

그 밖에 국내 기업이 ESG의 확산 추세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평가기준 일관성 확보 및 투명한 평가체계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40%로 가장 높았고,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이 33.3%, ‘글로벌 스탠다드에 준하는 한국형 ESG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26.7%로 나왔다. 

한편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ESG 기조의 확산은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은 물론, 이제 내수 기업의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글로벌 스탠다드 부합하는 일관되고 투명한 평가체계의 확립이 중요하며, ESG 경영 확산을 위해 (ESG대응)잘하는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